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한덕수 탄핵안, ‘기각 5’ ‘각하 2’…정계선 재판관만 인용

배윤경 기자
입력 : 
2025-03-24 10:06:24
수정 : 
2025-03-24 11:49: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는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를 기각하고, 한 총리는 즉시 직무에 복귀한다고 발표했다.

재판관 8명 중 5인은 한 총리의 법 위반 사실이 있으나, “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경우라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파면 정당화 사유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반면, 정계선 재판관은 한 총리가 후보자 추천을 지연한 것이 심각한 법 위반으로 파면할 정도의 잘못이라고 의견을 냈지만, 다수의 기각 의견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헌법재판소는 24일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했다. 이에 따라 한 총리는 즉시 직무에 복귀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다시 수행하기 시작했고 87일만에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했다.

한 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와 관련해 헌법재판관 8명 중 5인이 기각 의견을, 1인이 인용 의견을, 2인이 각하 의견을 냈다. 이에 따라 최종 결론은 기각.

헌법재판소에 출석했던 한덕수 국무총리. 연합뉴스
헌법재판소에 출석했던 한덕수 국무총리. 연합뉴스

기각 의견을 낸 5명 중 4인(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 재판관)은 한 총리가 국회에서 선출된 조한창·정계선·마은혁 재판관 후보자의 임명을 보류한 것이 헌법과 법률 위반이지만“국민의 신임을 배반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단정할 수 없어 파면을 정당화하는 사유가 존재한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김복형 재판관도 기각 의견을 냈다. 재판관을 ‘즉시 임명할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위헌·위법이 아니라고 의견을 냈다.

국회는 한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에 공모하거나 묵인·방조했으므로 파면돼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기각 의견을 낸 5인과, 인용 의견을 낸 정계선 재판관 등 6인은 “피청구인(한 총리)이 비상계엄 선포의 절차적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국무회의 소집을 건의하는 등 적극적 행위를 했음을 인정할만한 증거나 객관적 자료는 찾을 수 없다”고 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직무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직무 복귀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밖에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와 ‘공동 국정 운영 체제’를 꾸리려 시도하고 윤 대통령 관련 특검법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조장·방치했다는 탄핵소추 사유도 인정되지 않았다.

유일한 인용 결론은 정계선 재판관에게 나왔다. 그는 한 총리가 이른바 ‘내란 특검’의 후보자 추천을 제때 의뢰하지 않는 것은 특검법·헌법·국가공무원법 등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어서 재판관 임명 거부와 더불어 파면할 만큼의 잘못이라는 견해를 냈다.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은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는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는 대통령만큼이나 신중하게 행사되도록 해석해야 한다”며 의결 정족수를 대통령 기준(200석)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고, 따라서 국회의 탄핵소추를 각하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냈다.

국회는 지난해 12월 14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을 가결한 뒤,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던 한 총리도 12월 27일 탄핵심판에 넘겼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