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우크라처럼 코리아 패싱 걱정 커진다”…미국의 노골적 러시아 편들기

김상준 기자
입력 : 
2025-02-25 20:18:2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러시아 편을 들어 한국이 미북 대화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대북정책에 대한 원칙을 지속적으로 주입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한국이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북·러 간 군사적 밀착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한국은 전략적 외교 공간을 마련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의 러 밀착, 표적은 中
한미·한미일 동맹 강조하며
北 관련 韓 입장 계속 주입하고
러에도 직접 우리 ‘입김’ 전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화통화로 성사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협상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디리야궁전에서 진행됐다. 우크라이나는 협상에서 제외됐다. (앞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마이크 왈츠 미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 사우디 외무장관인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왕자, 모사드 빈 모하마드 알아이반 사우디 국가안보보좌관,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대통령 외교정책 보좌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AP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화통화로 성사된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협상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디리야궁전에서 진행됐다. 우크라이나는 협상에서 제외됐다. (앞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마이크 왈츠 미 국가안보보좌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 사우디 외무장관인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왕자, 모사드 빈 모하마드 알아이반 사우디 국가안보보좌관, 유리 우샤코프 러시아 대통령 외교정책 보좌관,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AP = 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해 러시아 편을 노골적으로 들면서 향후 미북 대화가 재개될 경우 한국도 협의 과정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한국 정부가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고,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원칙’을 계속 주입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일각에선 한국이 대러시아 관계를 선제적으로 개선하며 전후 질서 재편과정에서 발언권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25일 외교가에서는 미국과 러시아간 급격한 해빙 무드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미국이 향후 북한과 대화 재개 과정에서 한국이 아닌 러시아를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미·러 간 종전협상 과정에서 비공식적 교전 당사국인 북한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논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미·북 사이의 물밑 소통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는 한국이 배제된 채 체결된 한국전쟁 정전협정을 떠올리게 만든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홍완석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으로 묶여 있는 유럽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서 배제하는 걸 보면 한국 ‘패싱’은 당연한 수순일 수 있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한국전쟁 종전 협상 때처럼 한국이 미국과 다른 주장을 하는 모습을 보이면 논의 주체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북 대화 과정에서 배제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한미·한미일 동맹의 가치와 효용성을 강조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의 우호 관계를 복원하려는 배경에 깔려 있는 핵심 이익인 ‘중국 견제’를 카드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과 유럽에서 발을 빼고 인태(인도·태평양) 지역에 집중하려는 모양새”라며 미국의 현재 움직임을 진단했다. 박 교수는 “주요 동맹으로서 ‘북한의 비핵화’, ‘확장억제 제도화’ 등의 원칙을 미국에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도 러시아와 관계를 개선해 스스로 전략적 외교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안도 꾸준히 나온다. 러시아는 전후 재건을 위해서라도 한국과 경제협력 복원이 필요한 형편이다.

엄구호 한양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뿐 아니라 러시아에게도 북한 비핵화 원칙을 유지하도록 하고, 유엔 대북제재 틀을 허물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북한에 미사일 관련 고급 군사기술을 이전하는 문제는 한러 관계의 레드라인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북·러 간 군사밀착이 한반도 안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러시아의 행동을 통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엄 교수는 “한러관계 회복은 그 자체로 북한에 대한 레버리지(지렛대)로 작용하기도 한다”며 “정부가 미국에 ‘한러관계 회복이 미국에도 이익이 된다’는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