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성남FC 뇌물’ 관련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1/21/news-p.v1.20250121.5e6bf5ab1fca450aa14d5f18b2d6f589_P1.jpg)
국민의힘이 연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 등을 부각하며 대야 공세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당내에서 ‘조기 대선’이 금기어처럼 여겨지는 상황이지만,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유력 대권주자로 부상한 이 대표를 내심 견제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1일 오전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야권의 윤상현 의원 제명 추진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우리 당 의원들의 입과 행동을 막고 족쇄를 채우기 위한 정치공세”라고 반발했다.
이어 “제명이라는 건 국회의원 자격을 박탈하겠다는 것인데 너무 과도한 정치공세”라며 “그런 식으로 따지면 12개 범죄 혐의에 5개 재판을 받는 이 대표가 먼저 제명 대상이 될 것”이라고 힐난했다. 윤 의원에 대해선 “자신의 소신에 따라 발언하고 행동한 것”이라고 두둔했다.
최근 국민의힘 지도부는 내란 수괴(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을 엄호하면서도 윤 대통령 측의 주장을 그대로 재생산하는 것은 경계하는 모습이다. 윤 대통령과 일부 여권 인사가 12·3 비상계엄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한 ‘부정선거론’도 거론하지 않고 있다.
또 일부 강성 지지층이 서울서부지법에서 폭력 난동 사태를 벌인 것과 관련해서도 역시 ‘거리두기’를 하는 분위기다. 그 대신 이 대표와 민주당을 향한 공세를 적극 이어가고 있어 국민의힘 지도부의 발언 수위·방향 등이 미묘하게 변화했다는 평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 역시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해 “아직 언급할 때는 아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먼저”라면서도 “대비를 아예 안 할 수는 없는 게 현실”이라고 귀띔했다.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으리라고 전망했던 대통령 체포·구속 이후 당내 기류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이 열린 21일 오후 서울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1/21/news-p.v1.20250121.1e027f1e0b7d4f568e018d5d55e53b58_P2.jpg)
이 대표를 겨냥한 비판 공세를 권 원내대표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만 이어가는 것도 아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의 경우 이 대표가 지난 20일 은행연합회장과 6대 은행장을 만난 것을 두고 “금융은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쌈짓돈이 아니다”라고 이날 일갈했다.
김 위의장은 이어 “민주당과 이 대표가 순수하게 민생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는지 의문”이라며 “민주당은 점령군 같은 대통령 놀음과 어쭙잖은 반시장적 정치금융 포퓰리즘이 서민경제를 위협하고 시장 경제를 무너뜨릴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기 대선을 가정했을 때 여당이 윤 대통령과의 연대를 자제하고 이 대표를 향한 비판을 이어갈수록 중도 보수층의 표심을 잡기 수월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 대표는 복수의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선두를 지켰지만, 최근 들어 지지도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또 반대로 윤 대통령을 엄호하는 게 영남권 등 전통적인 강세 지역에서 강성 지지층의 결집을 끌어내기에 용이하단 시각도 있다. 여당이 정권 재창출을 목표로 할수록 당색을 뚜렷하게 하고 대야 공세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관점이다.
정계 한 관계자는 “당장은 국민의힘 지도부가 탄핵심판 등 정국을 예의주시하며 안정적으로 (당을) 운영하려는 것 같다”며 “최근 당의 지지율이 오른 것을 두고도 여당이 잘해서라기보다, 야당에 대한 반감 때문이란 분석이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