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특전사령관 주장 반박
김홍일·석동현 변호인단 추진
김홍일·석동현 변호인단 추진
윤석열 대통령이 향후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내란죄 수사에 대비해 변호인단을 꾸리는 등 하야보다 법정 공방을 바쁘게 준비하는 정황도 감지됐다. 11일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당시 계엄사령부 등을 통해 '국회 관계자들의 국회 출입을 막지 말고 들여보내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날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이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한 내용과 맥락이 완전히 다른 해명인 셈이다. 이 관계자는 "국회 본회의에서 계엄 해제 요구 안건이 심의되는 과정을 전 국민이 방송을 통해 지켜보고 있었는데, 어떻게 군이 들어가서 끌어낼 수 있었겠냐고 했다"고 전했다.
곽 사령관과 대통령실이 하루 새 완전히 다른 입장을 내놓으며 윤 대통령의 불법적인 군사작전 지시 여부를 두고 진실공방이 펼쳐지는 모양새다. 이를 놓고 윤 대통령이 자진 하야 대신 강제수사와 탄핵심판에 무게를 두고 대비를 시작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날 새벽 윤 대통령에게 계엄 선포를 건의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구속되고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이 긴급체포되면서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망이 윤 대통령을 향해 좁혀오는 형국이다.
다만 여당이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을 제시했음에도 윤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고 탄핵심판에 맞설 방침을 굳힌다면 여론의 극렬한 저항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윤 대통령이 지난 7일 담화를 통해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을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힌 것을 스스로 뒤집는 격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 측은 검사 출신 김홍일 전 방송통신위원장과 죽마고우인 석동현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등을 중심으로 변호인단을 구성하기 위해 타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 정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실 행정관 출신 변호사나 중견 법무법인 등도 사건 수임을 제안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