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SKT 해킹 사태에 놀란 정부, 제조·방산·조선·에너지업계 보안 주의보

고민서 기자
입력 : 
2025-05-11 16:01:3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가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후 주요 기업들에게 사이버 보안 수위를 높여줄 것을 요청하며 대선 전 사이버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000곳 기업에 보안 점검을 요청하며 최근 확인된 12종의 악성코드 검토를 당부했다.

유상임 장관은 대선 국면에서의 사이버 침해로 인한 국가적 혼란을 우려하며 범국가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대선 전 사이버 위협 대비 당부
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각계 기업들에게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된 자사 보안 체계를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사진=미드저니>
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각계 기업들에게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관련된 자사 보안 체계를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사진=미드저니>

정부가 SK텔레콤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 이후 가시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해 보안 수위를 높여줄 것을 주요 기업들에게 촉구하고 나섰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시장을 교란시킬 수 있는 사이버 해킹전이 대두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11일 업계와 정보통신(IT) 당국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협 대응 태세 강화’라는 제목의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과기정통부는 이 공문을 통해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고에서 발견된 악성코드 12종이 각 사의 정보통신 설비에 잠복해 있지 않은지 보안 점검을 할 것을 당부했다. 공문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최근 사이버 침해 사고와 정치적 상황을 악용한 다양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보안 경계 태세 강화에 빈틈없이 해달라고 요청했다.

여기에는 금융·제조·전력 및 에너지·문화 콘텐츠·통신·플랫폼 등 기업 전 분야가 점검 대상으로 포함됐다. 일례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기업부터 롯데·현대차·한화·CJ그룹 등 대기업 소속 계열사 및 중견·중소기업들을 총망라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스타트업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에 보안 체계를 점검해 달라고 협조 요청을 했다”면서 “이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는 정보보호 포털 사이트인 ‘보호나라’에 공지된 SK텔레콤의 해킹 악성코드 정보 12종을 열람하고 각 사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는지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기 위한 취지”라고 말했다. 알림마당을 통해 침해사고 위협 정보가 공유되고 KISA 역시 기업 6000곳을 대상으로 보안 공지를 보낸 바 있지만,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 과기정통부 차원에서 한 번 더 업계에 당부를 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맥락에서 최근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선 전 사이버 보안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유 장관은 지난 9일 열린 브리핑에서 “대선 국면에서 공공, 국방, 민간 어디서든 사이버 침해가 발생하면 대단한 국가적 혼란을 줄 것”이라며 “범국가적인 사이버 보안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사이버 보안 시스템을 가동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국가정보원을 중심으로 돼 있고 (부처 역할이) 산재해 있다”며 개선의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