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뢰성 양자침 공개
학계 “신중히 검토해야”
![마이크로소프트의 양자칩 [사진=MS]](https://pimg.mk.co.kr/news/cms/202502/20/news-p.v1.20250220.ec1dcfbced034466a4c453a75de7d606_P1.png)
마이크로소프트(MS)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양자 컴퓨터를 개발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양자 컴퓨터의 필수 구성 요소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물질 ‘토포컨덕터(topoconductor)’를 활용한 것으로, 양자 컴퓨터 개발 속도를 수십 년에서 수년 내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일(현지 시각) MS는 최근 발표한 논문을 통해 새로운 양자칩을 공개했다. MS는 “현대 전자기기의 기반이 된 반도체 혁명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라며 “반도체 기술이 컴퓨터를 소형화하고 성능을 대폭 향상한 것처럼, 이번 양자 칩도 단일 칩 내에서 고성능 양자 시스템을 구현할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칩은 세계 최초 토포컨덕터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는 고체, 액체, 기체로 구분되지 않는 새로운 상태의 물질이다. 이를 통해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의 양자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으며, 기존 양자 컴퓨터가 가진 불안정성과 오류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MS는 밝혔다.
킹스 칼리지 런던의 조지 부스 교수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인상적인 기술적 성취이지만, 실질적인 가치가 증명되는 것은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양자 컴퓨터의 발전이 수십 년에서 수년 내로 단축될 수 있다는 주장은 아직 검증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만약 MS의 기술이 기대한 대로 작동한다면, 이는 양자 컴퓨터 실용화의 결정적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양자 컴퓨터의 가장 큰 난제는 큐비트 수의 확장(스케일링)인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기술이 100만 개 이상의 큐비트로 확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과거에도 위상적 큐비트 개발을 주장했지만, 일부 연구 결과가 철회된 적이 있다. 따라서 이번 기술 역시 신중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서리 대학 물리학 폴 스티븐슨 교수도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중요한 진전이지만, 양자 컴퓨터 개발에서는 다음 단계가 매우 어렵다”며 “이번 기술이 실제로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