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2월 가계대출 한달만에 다시 증가세…주담대 5조 증가

이소연 기자
입력 : 
2025-03-12 12:02:0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총 4조3000억원 증가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원 증가했으며, 이는 금리 하락과 신학기 이사 수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지만 신용대출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全 금융권 가계대출 +4.3조
전월 감소세서 증가세 전환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안내되어 있다. 한주형 기자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외벽에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안내되어 있다. 한주형 기자

2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전환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5조원 증가했다. 금리하락기에 대출 규제가 완화되는 것은 물론, 신학기 이사수요가 겹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2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2월 전월 대비 총 4조3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지난 1월 9000억원 줄며 감소세를 보였으나 한달만에 증가했다.

대출 증가세를 견인한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이었다. 2월 중 주담대는 5조원 증가해 전월(3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권과 제2금융권에서 주담대는 전월 대비 각각 3조5000억원, 1조5000억원 늘어났다.

새해 들어 금리인하 기조 속 은행권 ‘실수요자 중심’ 대출 빗장이 하나둘 풀리면서, 이외 수요자의 주담대가 늘어나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은행권 대출금리 하락도 주담대 증가의 원인으로 보인다. 또 토지거래허가제 규제 완화 이후 늘어난 부동산 수요도 일부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다. 감소폭은 전달 4조1000억원에 비해 줄었다. 1월에 전월대비 1조5000억원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2월엔 전월대비 1000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업권별로,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3조3000억원 증가했다 정책성 대출은 전월 대비 2조9000억원 감소했으며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원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원 증가하며 전월 감소세(5000억원)에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