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한반도 뒤덮은 '붉은 죽음'… 방역과 사투 벌이죠

이진한 기자
입력 : 
2024-12-11 17:36:41
수정 : 
2024-12-11 19:08:3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나무 재선충은 1mm 길이의 실 모양 생물체로, 치사율 100%이며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를 매개로 전파된다. 1988년 국내에 유입되어 2007년과 2014년에 대발생 사태를 겪었으며, 최근 겨울철 이상 고온으로 인해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소나무 재선충 속도전에 나서, 유전자 증폭 기술을 활용한 30분 이내 감염 여부 판단 진단키트를 개발했으며, 드론을 활용한 정밀 고도화된 약제 항공 살포 및 내병성이 강한 나무 품종 개발에도 나섰다.

또한, 급격한 기후 환경 변화는 수목의 내병성을 약화시켜 2차 재난의 원인이 될 수 있어, 2025년 농림 위성 발사 시 해당 영상을 활용한 신속 정확한 예찰과 맞춤형 방제 전략으로 재해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
기후변화로 소나무재선충 비상
감염 즉각 판별 키트 등 개발
"올겨울 대란 막아야 山 살아나"
배재수 원장이 산림병해충의 발생 빈도가 이상기후로 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배재수 원장이 산림병해충의 발생 빈도가 이상기후로 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른바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재선충은 약 1㎜ 길이의 가늘고 긴 실모양 생물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파악한 주요 산림병해충 450여 종 중 유일하게 치사율이 100%에 이른다.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를 매개로 전파하며, 강한 병원성과 높은 전염성이 특징이다. 북미 지역이 원발생지지만, 일본을 거쳐 1988년 국내에 처음 유입됐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은 2022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지난 4월 약 90만그루까지 늘었다"며 "이번 겨울은 3차 대발생을 막을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여느 때보다 방역 역량을 모으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2월부터 산림과학원을 이끌고 있는 그는 '한국인과 소나무'라는 책을 내는 등 소나무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밝힌 바 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은 과거 두 차례 소나무재선충 대발생 사태를 겪었다. 1차 대발생이 있었던 2007년에는 피해목이 137만그루까지 늘었다가 집중 방제를 통해 2011년 26만그루로 피해 규모를 줄였다. 그러다 2014년 다시 218만그루로 급증했고, 2021년에야 간신히 31만그루로 막아냈다. 그러다 최근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으로 매개충의 활동 기간이 늘면서 포항·경주 등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 방제의 기술 기반을 맡고 있는 산림과학원은 '속도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닷새 만에 부화부터 재산란까지 한 주기가 끝나 20일이면 한 쌍이 20만~30만마리로 확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전자 증폭 기술을 활용해 임업 현장에서 30분 이내에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한 까닭이다. 기존에는 시료를 채취해 1차 진단기관에 보내 판별하는 방식으로 통상 3일 이상의 시간이 들었다.

배 원장은 "사용자 연령대가 높아 보다 쉽게 쓸 수 있도록 키트를 개선하고 있다"며 "나무 한 그루를 검사하는 데 1만원 안팎의 비용이 들어 대량생산을 통한 비용 절감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기후변화 여파로 산림 재해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증언했다. 인도·베트남 등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던 노랑알락하늘소나 북미 지방에서 들어온 미국흰불나방 같은 유해종이 국내에 서식 반경을 넓히고 있다는 것이다.

배 원장은 "급격한 기후 환경 변화는 수목의 내병성도 떨어뜨려 같은 양의 병해충에 감염되더라도 더 쉽게 고사한다"며 "이는 산불·산사태를 비롯한 2차 재난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산림과학원이 내병성이 강한 나무 품종을 개발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또 환경 위해성 우려로 중단됐던 약제 항공 살포는 드론을 활용해 정밀·고도화하고 있다. 배 원장은 "2025년 농림위성이 발사되면 해당 영상을 활용한 신속·정확한 예찰과 맞춤형 방제 전략으로 재해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진한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