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후의 명곡인 '동백아가씨'
첫째딸 배었을때 녹음·발표
두살때 이혼후 영영 헤어져
앙금 털고 왕래한지 오래돼
재혼후 전처 딸 두명 거두고
아들도 새로 낳아 집안 건사
가족들과 매주 주말에 식사
손주 사랑이 더 크단 말 실감
첫째딸 배었을때 녹음·발표
두살때 이혼후 영영 헤어져
앙금 털고 왕래한지 오래돼
재혼후 전처 딸 두명 거두고
아들도 새로 낳아 집안 건사
가족들과 매주 주말에 식사
손주 사랑이 더 크단 말 실감

재혼한 후로 이미자에게 삶의 중심은 늘 가정이었다. KBS 예능 PD였던 남편 김창수 씨와 만나 종갓집 며느리로 시집살이를 시작했다. 전처소생인 두 딸을 거두고 아들도 낳아 건사했다. 그 시절 기혼 여성에게 기대되던 모습에 맞게끔 고군분투했다. 지금은 자식보다 더 예쁜 손주들 덕분에 얼굴에 웃음꽃이 핀다.
-이혼 후 딸과는 소원했던 걸로 알려져 있는데.
▷왕래한 지 오래됐다. 2019년 내 60주년 콘서트에도 왔다. 이걸 굳이 발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 그냥 그렇게 지냈다.
-합동 공연은 어떻게 성사됐나.
▷딸이 일본에서 25년 동안 가수 생활을 하느라 고생했는데, 올해 벌써 환갑이다. 일본인인 사위가 어렵게 먼저 얘기를 꺼내기에 기꺼이 응했다. 살면서 같이 노래를 부를 줄은 꿈에도 몰랐지만 조금이라도 외롭게 산 세월, 미안한 마음에 보답이 될까 싶었다. 딸이 홀로 고생할 때는 마음이 아팠지만 지금은 사위가 뒷받침을 잘해주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니 그저 감사하다.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내 개인 콘서트가 아니라 신경이 더 많이 쓰였다. 어떻게 했는지도 모르겠다. 노래도 잘하지 못한 것 같은데 끝나고 보니 많이들 울었다고 하더라.
-모녀의 음색이 닮았다고들 한다.
▷그런 말을 많이 들었는데 나는 잘 모르겠더라.
-가수로서의 삶을 따라오는 딸을 보며 드는 생각은.
▷현명하게 하고 있다. 일본은 1년에 한 번씩은 새 음반을 내야 한다는데, 잘됐으면 한다. 한국에서도 공연을 계획하고 있어서 한편으론 걱정스럽다. 혹여나 어려운 점은 의논할 수 있는 게 엄마가 아니겠나.
-국민 가수이자 한 가정의 어머니, 며느리로서 살아왔다.
▷보통 결심으로는 안 되는 일이다. 밥 짓는 법도 모르고 갑자기 종갓집 며느리가 돼 너무너무 힘들었다. 게다가 당시 첫 결혼에 실패했다는 생각에 어떡해서든 새 가정을 잘 꾸려야 한다는 마음이 컸다. 시어머니 어깨 너머로 일을 배워가면서 '손색없는 며느리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시집살이했다.
-일과 가정의 균형을 어떻게 잡았나.
▷가정부의 도움을 받긴 했지만, 그냥 했다. 아이들 소풍날엔 새벽 4시에 일어나 직접 김밥을 쌌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힘들게 했기 때문에 지금 잘 지내고 있는 것 같다.
-요즘 젊은 세대는 받아들이기 힘들 것 같은 삶이다.
▷지금은 남편과 아내가 동등한 입장이지만 우리 시대는 달랐다. 남편은 하늘이고 아내는 땅이라는 개념이었다. 더구나 내 이름이 알려져서 남편을 우습게 여길 것이란 편견이 있으니, 오히려 더 땅 노릇을 자처했다. 그것도 하나의 절제였다.
-삶의 낙이 있다면.
▷아들 사랑보다 손주 사랑이 더 크다는 말이 사실이더라. 셋 중 큰아이는 런던에서 유학 중이고, 둘째가 서울대에 합격했다. 막내는 고등학교에 올라간다. 매주 주말 모두 모여서 식사한다. 식구라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주위에 아쉬운 소리 하지 말고 살자는 게 목표였는데 잘 이뤄졌다. 가정도 잘 이끌어왔다고 자부한다.
-손주들도 연예인이 되고 싶다고 하면.
▷본인들 희망대로 해줄 텐데 관심 없어 보인다. 나는 가만히 생각해보면 돌연변이다. 우리 부모님도 노래를 잘하는 사람이 없었다.
[정주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