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문화

이혼후 생이별했던 딸, 日서 엔카 가수 활동 작년 함께 디너쇼 … 미안한 마음 조금 덜어

정주원 기자
입력 : 
2025-01-07 16:15:42
수정 : 
2025-01-26 14:50:2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자(84)는 노래 '동백아가씨'로 유명하지만, 딸과는 오랜 생이별을 겪었다.

최근 일본에서 활동 중인 딸 정재은(61)과의 생애 첫 합동 무대는 오랜 소원한 관계를 극복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미자는 가정과 음악 경력을 병행하며 손주들의 사랑으로 행복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불후의 명곡인 '동백아가씨'
첫째딸 배었을때 녹음·발표
두살때 이혼후 영영 헤어져
앙금 털고 왕래한지 오래돼
재혼후 전처 딸 두명 거두고
아들도 새로 낳아 집안 건사
가족들과 매주 주말에 식사
손주 사랑이 더 크단 말 실감
지난해 12월 8~9일 일본 도쿄에서 처음으로 모녀 듀엣 무대를 선보인 가수 이미자와 딸 정재은. 정재은은 일본인과 결혼·귀화해 엔카 가수로 활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지난해 12월 8~9일 일본 도쿄에서 처음으로 모녀 듀엣 무대를 선보인 가수 이미자와 딸 정재은. 정재은은 일본인과 결혼·귀화해 엔카 가수로 활약하고 있다. 쇼당이엔티
불후의 명곡 '동백아가씨'는 이미자(84)가 첫째 딸을 뱄을 때 녹음하고 발표했다. 그러나 노래가 한평생 대표곡이 된 것과 달리, 딸은 두 살배기일 때 이혼과 동시에 생이별했다. 그래도 딸은 음악적 재능을 물려받았는지, 1999년 '항구' 등을 불러 국내에서도 인지도를 쌓았다. 지금은 일본에서 'Cheuni'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정재은(61)이다. 그는 2005년 한 방송에서 "어머니와 단 세 번 만났다"고 밝혔다. 이미자는 때론 '비정한 모성'이라는 손가락질도 받아내야 했지만, 세월이 흘러 앙금을 털어낸 지도 오래다. 모녀는 지난달 8~9일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열린 정재은의 디너쇼 무대에서 생애 첫 합동 무대를 꾸몄다.

재혼한 후로 이미자에게 삶의 중심은 늘 가정이었다. KBS 예능 PD였던 남편 김창수 씨와 만나 종갓집 며느리로 시집살이를 시작했다. 전처소생인 두 딸을 거두고 아들도 낳아 건사했다. 그 시절 기혼 여성에게 기대되던 모습에 맞게끔 고군분투했다. 지금은 자식보다 더 예쁜 손주들 덕분에 얼굴에 웃음꽃이 핀다.

-이혼 후 딸과는 소원했던 걸로 알려져 있는데.

▷왕래한 지 오래됐다. 2019년 내 60주년 콘서트에도 왔다. 이걸 굳이 발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 그냥 그렇게 지냈다.

-합동 공연은 어떻게 성사됐나.

▷딸이 일본에서 25년 동안 가수 생활을 하느라 고생했는데, 올해 벌써 환갑이다. 일본인인 사위가 어렵게 먼저 얘기를 꺼내기에 기꺼이 응했다. 살면서 같이 노래를 부를 줄은 꿈에도 몰랐지만 조금이라도 외롭게 산 세월, 미안한 마음에 보답이 될까 싶었다. 딸이 홀로 고생할 때는 마음이 아팠지만 지금은 사위가 뒷받침을 잘해주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니 그저 감사하다.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내 개인 콘서트가 아니라 신경이 더 많이 쓰였다. 어떻게 했는지도 모르겠다. 노래도 잘하지 못한 것 같은데 끝나고 보니 많이들 울었다고 하더라.

-모녀의 음색이 닮았다고들 한다.

▷그런 말을 많이 들었는데 나는 잘 모르겠더라.

-가수로서의 삶을 따라오는 딸을 보며 드는 생각은.

▷현명하게 하고 있다. 일본은 1년에 한 번씩은 새 음반을 내야 한다는데, 잘됐으면 한다. 한국에서도 공연을 계획하고 있어서 한편으론 걱정스럽다. 혹여나 어려운 점은 의논할 수 있는 게 엄마가 아니겠나.

-국민 가수이자 한 가정의 어머니, 며느리로서 살아왔다.

▷보통 결심으로는 안 되는 일이다. 밥 짓는 법도 모르고 갑자기 종갓집 며느리가 돼 너무너무 힘들었다. 게다가 당시 첫 결혼에 실패했다는 생각에 어떡해서든 새 가정을 잘 꾸려야 한다는 마음이 컸다. 시어머니 어깨 너머로 일을 배워가면서 '손색없는 며느리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시집살이했다.

-일과 가정의 균형을 어떻게 잡았나.

▷가정부의 도움을 받긴 했지만, 그냥 했다. 아이들 소풍날엔 새벽 4시에 일어나 직접 김밥을 쌌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힘들게 했기 때문에 지금 잘 지내고 있는 것 같다.

-요즘 젊은 세대는 받아들이기 힘들 것 같은 삶이다.

▷지금은 남편과 아내가 동등한 입장이지만 우리 시대는 달랐다. 남편은 하늘이고 아내는 땅이라는 개념이었다. 더구나 내 이름이 알려져서 남편을 우습게 여길 것이란 편견이 있으니, 오히려 더 땅 노릇을 자처했다. 그것도 하나의 절제였다.

-삶의 낙이 있다면.

▷아들 사랑보다 손주 사랑이 더 크다는 말이 사실이더라. 셋 중 큰아이는 런던에서 유학 중이고, 둘째가 서울대에 합격했다. 막내는 고등학교에 올라간다. 매주 주말 모두 모여서 식사한다. 식구라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주위에 아쉬운 소리 하지 말고 살자는 게 목표였는데 잘 이뤄졌다. 가정도 잘 이끌어왔다고 자부한다.

-손주들도 연예인이 되고 싶다고 하면.

▷본인들 희망대로 해줄 텐데 관심 없어 보인다. 나는 가만히 생각해보면 돌연변이다. 우리 부모님도 노래를 잘하는 사람이 없었다.

[정주원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