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랠리에 대형주는 급등
소형주 하락 종목 비율, 대형주의 3배
![[그래픽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10/12/news-p.v1.20251012.f2d185f5687146f8a231789a57f590cd_P1.png)
최근 코스피가 사상 최고 행진 중이지만, 종목 규모별로 수익률 편차가 심한 가운데 특히 중소형주 투자자들의 표정이 좋지 않다. 대형주와 달리 중소형주가 시장 수익률을 밑도는 수익을 내면서 ‘풍요 속 빈곤’ 상황이기 때문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10일 전 거래일보다 1.73% 오른 3610.60에 장을 마치며 지난해 말(2399.49) 대비 50.5% 상승했다.
상장 기업 규모별로 보면 시가총액 상위 1∼100위권의 대형주로 구성된 코스피 대형주 지수는 올해 들어 54.7% 상승해 코스피 수익률을 웃돌았다.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100개 종목 중 지난해 말 대비 상승한 종목은 87개로 하락 종목(11개) 수의 8배에 달했다.
![나란히 최고가 찍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 [사진 뉴스1]](https://pimg.mk.co.kr/news/cms/202510/12/rcv.NEWS1.NEWS1.20251010.2025-10-10T160848_1007535006_FINANCE-STOCK_I_P1.jpg)
특히 대형 반도체주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주가가 5만3200원에서 9만4400원으로 77% 뛰었으며, SK하이닉스도 17만3900원에서 42만8000원으로 146% 급등했다.
반면 코스피 시총 상위 101위∼300위 종목으로 구성된 중형주 지수는 올해 32.8% 상승하며 코스피 수익률(50.5%)을 밑돌았다.
중형주 지수를 구성하는 200개 종목 중 72%에 해당하는 144개 종목이 올랐으며, 25%에 해당하는 50개가 하락했다. 중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25%)은 대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11%)의 2배를 넘었다.
특히 코스피 소형주 지수는 올해 들어 16.8% 오르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50.5%)을 밑돈 데 이어, 코스피 대형주(54.7%) 및 중형주 상승률(32.8%) 대비로도 모두 부진했다.
코스피 소형주 지수를 구성하는 541개 종목 중 33%에 해당하는 179개 종목이 지난해 말 대비 주가가 하락했는데, 이는 코스피 대형주 내 하락 종목 비율(11%)의 3배에 달한다.
특히 국민연금 등 기관이나 외국인은 대형주 위주로 투자하는 데 비해 중·소형주에 상대적으로 많이 투자하는 개인에게는 쉽지 않은 투자 환경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를 제외한 업종의 3분기 실적 모멘텀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당분간 중소형주의 뚜렷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재승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한미 관세 협상 난항과 원화 약세는 코스피의 업종별 차별화를 확대할 것”이라며 “미국이 한국에 원하고 있는 반도체와 전력, 조선 등의 보호무역 무풍 수출주들의 강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