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업황 침체에 노사갈등·파업까지…현대제철 1분기 결국 190억 적자

우제윤 기자
입력 : 
2025-04-24 14:55:06
수정 : 
2025-04-24 14:57: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성과급 문제로 인한 노사 갈등과 건설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1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향후 중국 경기 부양책과 저가 판재 수입량 감소로 인해 2분기부터 실적이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며,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미국 루이지애나에 전기로 일관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현대제철은 이 제철소를 통해 고부가 가치 자동차강판을 생산하고,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하여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매출액 5조5635억... 전년 대비 6.5% 감소
직전분기보다 적자폭 268억 줄여
美루이지애나 제철소 등 성장동력 확보
사진설명

작년부터 성과급 문제를 두고 극심한 노사갈등에 시달렸던 현대제철이 1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24일 공시를 통해 지난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조5635억원, 영업손실 190억원, 당기순손실 54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6.5% 감소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적자전환한 것이다. 그나마 작년 4분기 영업손실 458억원에 비해 적자폭을 줄인 것이 위안거리다.

건설경기 위축 등 수요산업 부진으로 인한 철강 시황 침체와 파업 영향으로 제품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은 “철강시황 회복 지연 및 파업의 영향으로 1분기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0.9% 감소했으나, 전분기말 일회성 비용 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268억원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또 “철강재 수요 감소로 시황이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향후 중국 경기 부양책 시행과 중국 내 철강 감산으로 글로벌 철강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국내 시장의 경우 반덤핑 관세 부과에 따라 저가 판재 수입량이 감소하고 봉형강 제품의 감산 및 성수기 진입으로 판매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돼 2분기부터 완만한 실적 회복이 전망된다”고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현대제철은 글로벌 철강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짓는 전기로 일관제철소다. 이 제철소는 연산 270만t 규모로 직접환원철(DRI) 생산 설비를 비롯해 전기로, 연주, 압연 설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대제철은 이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대차·기아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전략 차종에 들어가는 자동차강판 공급을 목표로 고객사의 탄소저감 소재 니즈에 대응한 제품을 생산․공급할 예정이다.

현대제철은 미국 철강 시장을 고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 시장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번 현지 생산거점 구축을 통해 고부가 자동차강판 판매 확대, 통상 리스크 대응, 탄소저감 생산체제 기반 마련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미국 전기로 제철소에서 기존 고로 제품 품질 수준에 준하는 탄소저감 자동차강판을 생산함으로써 제품 포트폴리오를 고수익·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재편하고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해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