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두산에너빌, KAI와 항공엔진 기술 협력 나선다

이종화 기자
입력 : 
2024-12-17 15:36:3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에 나서며 '항공기용 엔진 개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정부의 중장기 계획에 맞춰 항공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며, 두산에너빌은 발전용 가스터빈 기술을 기반으로 항공엔진을 개발하고 KAI는 항공기 체계 개발을 맡을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항공엔진 국산화 실현과 국산 항공기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7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에서 강구영 KAI 사장(왼쪽)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이 ‘항공기용 엔진 개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업무협약(MOU)’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에너빌리티
17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에서 강구영 KAI 사장(왼쪽)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이 ‘항공기용 엔진 개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업무협약(MOU)’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두산에너빌리티
가스터빈 기술 기반으로 항공엔진 개발
KAI는 항공기 체계 개발을 맡을 예정

두산에너빌리티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에 나섰다.

17일 두산에너빌은 KAI와 ‘항공기용 엔진 개발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강구영 KAI 사장과 정연인 두산에너빌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정부의 중장기 계획에 맞춰 항공엔진을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에너빌은 발전용 가스터빈 기술을 기반으로 항공엔진을 개발하고 KAI는 항공기 체계 개발을 맡을 예정이다.

양사는 △1만5000파운드포스(lbf)급 유∙무인기용 엔진 △1만lbf급 무인기용 엔진 △100~500lbf급 다목적 무인기용 소형엔진 등의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항공엔진 국산화를 위해 2030년대 초까지 1만lbf급 무인기용 엔진과 1만5000lbf급 항공 엔진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일부 국가만이 자체 항공엔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정 부회장은 “두산에너빌은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공엔진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면서 “이번 협력으로 기술 역량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항공엔진 국산화는 물론 국산 항공기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두산에너빌은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항공기 엔진 제작, 추진체 보조기 부품 제작, 정비와 판매 및 서비스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한 바 있다.

강 사장은 “국내 항공기와 가스터빈 분야 선도 기업 간의 전략적 협력은 국산 항공기용 엔진 개발에 거대한 시너지를 만들어 낼 것”이라며, “항공기 엔진의 국산화를 단계적으로 성공시켜 K-방산 수출경쟁력을 더욱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