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트럼프 “한국은 3500억달러 선불로 합의” 또 언급

이가람 기자
입력 : 
2025-10-16 07:35:32
수정 : 
2025-10-16 08:07: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한국이 약속한 대미 투자 자금 3500억 달러를 선불로 지급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현금 직접 투자의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무역 합의의 세부 사항에 대해 깊은 견해 차이가 있어 최종 서명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협상에서 이견이 해소될 수 있다고 말하며, 가까운 시일 내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역 합의 일환으로 약속한 대미 투자 자금 3500억달러(약 497조7000억원)을 선불로 지급하기로 했다고 또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 관세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나온 발언이라 주목된다.

1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한국은 3500억달러를 선불로, 일본은 6500억달러에 합의했다”라며 “(이전에는) 미국에 대한 완전한 착취였다”라고 말했다. 미국과 일본이 합의한 대미 투자 규모는 5500억달러여서 트럼프 대통령이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에도 “한국에서 3500억 달러를 받는다”라며 “이것은 선불”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는 현금 직접 투자를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라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 7월 30일 협상단을 파견해 미국과 무역 합의에 나섰지만, 투자금의 성격과 구조 등을 놓고 견해 차이가 커 3개월째 최종 서명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무역 합의 내용을 명문화한 유럽연합(EU)이나 일본보다 높은 관세를 지불하는 등 대미 수출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이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한미 협상과 관련해) 이견이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라며 “우리는 현재 대화하고 있으며 향후 10일 내로 무언가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에 최종 합의가 임박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