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日 3월 소비자물가 3.2% 상승...쌀가격 급등에 두달만에 확대

신윤재 기자
입력 : 
2025-04-18 16:16:1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본 정부가 쌀값 폭등에 대응해 비축미를 방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일본 쌀류 가격은 전년 대비 92.1% 급등하며 1971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2% 상승했으며, 이는 4개월 연속 3%대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7월까지 매달 비축미 입찰을 실시하며 공급량 확대 방침을 밝혔고, 이달 하순에 10만 톤의 비축미를 방출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4개월 연속 상승률 3%대
쌀값 92.1% 폭등
일본인 여성 관광객들이 15일 롯데마트에서 쌀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TBS 캡처]
일본인 여성 관광객들이 15일 롯데마트에서 쌀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TBS 캡처]

쌀값 폭등 현상에 대응해 일본 정부가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비축미를 방출했음에도 일본의 쌀값이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18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의 쌀류 가격은 전년 동기대비 92.1%나 폭등했다. 비교할 수 있는 통계가 있는 1971년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일본 시중에서 판매되는 쌀 가격은 14주 연속 오르면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6일까지 5㎏당 평균 4214엔(약 4만2000원)을 기록했다.

쌀값 폭등 여파는 일본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도 영향을 미쳤다. 18일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변동성이 큰 신선식품을 제외한 일본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10.2로, 전년 동기 대비 3.2% 상승했다.

2월 3.0%보다 0.2%포인트 늘어난 수치로,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개월 연속 3%대를 기록했다. 금융정보업체 퀵이 조사한 시장 전망치(3.2%)와는 부합했다.

일본 농림수산성은 7월까지 매달 비축미 입찰을 추가로 실시해 공급량을 늘리겠다는 입장으로, 우선 이달 하순에 비축미 10만t을 방출할 방침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전기·도시가스 요금 상승은 둔화했지만, 쌀 등 식료품 고물가는 지속됐다”고 짚었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여름께부터 유통량 부족 등으로 쌀값이 폭등하면서 ‘레이와(令和·현 일왕 연호)쌀 소동’이라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한편, 에너지 관련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6%로 2월 6.9%에서 축소됐다. 정부의 전기 및 가스비 보조로 상승세를 억제했다. 전기요금은 8.7%, 도시가스요금은 2.0%로 모두 전달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다만 휘발유값은 6.0% 상승해 2월 5.8%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정부 보조금 기준을 1월부터 소매가 기준 리터당 185엔 정도로 인상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