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아세안무역 '脫미국·中밀월' 조짐

신윤재 기자
입력 : 
2025-04-09 17:57:45
수정 : 
2025-04-09 23:31:3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아시아 지역에서 '탈미국화'를 초래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중국과의 무역 확대를 서두르고 있으며, 필리핀은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로 외국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강조하고 있다.

트럼프 2기 출범 후 아시아 무역이 다시 중국 중심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중국은 새로운 수출 시장 확보를 위해 아시아 국가들을 방문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中접경 태국·베트남·말레이
무역로 철도 인프라 정비나서
◆ 한미관세협상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미·중 갈등의 최전선인 아시아 지역의 '탈미국화'를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왔다. 전통적으로 미·중 양쪽에 중립 입장을 취해온 다수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에 보다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과 국경을 맞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가 최근 철도 인프라스트럭처를 적극 정비하며 중국과의 무역 확대를 서두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공개된 지난 3일 조지 바르셀론 필리핀 상공회의소 회장은 필리핀 관세율이 경쟁국인 베트남·태국보다 낮아 외국 투자를 끌어들이기 좋은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동남아 국가들 상당수는 그동안 자유무역을 통해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왔다.

닛케이에 따르면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에 달한다. 중국으로 무역 거래가 확대되는 현상은 트럼프 1기 때도 나타난 바 있다. 닛케이는 "트럼프 2기 출범 후 아시아 무역이 다시 중국 중심으로 회귀하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역시 미국을 대체할 수출 시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를 연달아 방문할 예정이다.

[신윤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