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관련 기업들 관세 발효 앞두고
부품 사재기∙비용 절감 등 분주해
자동차 가격 최대 2만弗 인상 추정
![멕시코의 닛산 자동차 공장에 주차된 차들. [로이터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4/07/news-p.v1.20250407.c230d05f26384421a3045d1e1fd6e175_P1.jpg)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제조업 부활을 명분으로 전 세계와 ‘관세 전쟁’에 나섰지만, 반대로 미국 ‘러스트벨트’의 상징인 미시간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등 세계 경제에 ‘메가톤급’ 후폭풍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미국 자동차 산업의 메카인 미시간주가 이 같은 ‘관세 폭탄’의 희생양이 되는 아이러니가 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시간주의 자동차 관련 기업들은 특히 5월 3일 이전까지 부과하기로 한 자동차 핵심 부품에 대한 25% 관세 발효를 앞두고 부품을 사재기하고 비용 절감에 ‘올인’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미시간 소재 기업·노동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가운데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자동차 업계 경영진이 ‘전투 모드’로 전환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 보도했다.
이들 기업은 ‘워룸’을 설치해 수입 부품을 비축하고, 가격 인상 협상에 나서고, 비용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자동차 기업 경영진의 위기감은 상당하다. 한 자동차 기업 경영진은 WSJ에 관세가 자동차 부품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게 되면 “체르노빌처럼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 완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다음달 3일 이전까지 엔진·변속기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도 같은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던 바 있다. 이 지역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 2일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가 예상보다 더 파장이 클 것이라 평가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이미 지난달 12일 발효된 철강·알루미늄 수입품과 중국산 제품에 대한 20%포인트 추가 관세 부과 조치는 미시간 지역 자동차 업계에 타격을 입히고 있는 상황이다. 디트로이트 외곽의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럭시트는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54%까지 치솟게 된다는 소식에 생산라인 이전을 검토 중이다.
노동자들도 불안감이 커지기는 마찬가지다.
관세로 인해 차량 가격이 급등하고 수요가 감소하면 해고가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로 노동자들은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지난주 자동차 기업 스텔란티스는 캐나다·멕시코 공장에 부품을 공급하는 미시간주·인디애나주의 노동자 900여 명을 일시적으로 해고했던 바 있다. 해당 공장은 가동을 중단했다.
미시간 지역 컨설팅 기업인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은 관세로 인해 상당수 신차 가격이 2500~1만2000달러, 고급 차량은 최대 2만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미 신차 평균 가격이 약 4만8000달러에 달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차량을 더 구매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개브리엘 얼리히 미시간대 교수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만으로도 내년 말까지 미시간주의 자동차 제조업 일자리가 600개 줄어들고, 자동차 산업 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후방산업에서 1700개 일자리가 추가로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얼리히 교수는 자동차 관세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한편 관세 후폭풍으로 경합 지역을 지역구로 둔 공화당 의원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일부 경합주의 공화당 의원들은 이미 관세 문제에 대해 압박받고 있다고 의회 전문매체 ‘더힐’은 전했다.
공화당 내에서 상호관세 등 트럼프 관세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경제 조치로 민심 이반 현상이 관측되기 때문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공화당 의원들 사이에서 관세에 대한 일부 저항이나 작은 반대의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라며 “공화당의 성패는 기본적으로 관세 및 경제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