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5000억달러(약 714조원) 투자를 예고했다. 애플은 이번 미국 투자가 역대 최대 규모라면서 투자로 인해 미국 내 일자리가 2만개 이상이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24일(현지 시각) 애플의 성명을 인용, “애플이 미국에 5000억달러 이상 지출·투자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투자로 창출된 신규 일자리 2만개는 연구개발(R&D), 실리콘 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 분야에 집중될 예정이다.
이 투자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애플은 ‘첨단 제조 기금’(Advanced Manufacturing Fund)을 기존 50억 달러의 두배인 100억 달러(약 14조원)로 확대하며, AI 등에 투자를 가속할 계획이다. 애플은 서버 생산 계획도 밝혔다. 폭스콘 테크놀로지 그룹과 함께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구동하는 서버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생성형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의 구성 요소다.
블룸버그통신은 “해외 생산 일부를 (미국으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애플은 내년에 휴스턴에 25만㎡ 규모의 제조 시설이 문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게 돼 기쁘다“며 ”미국 혁신의 역사에서 놀라운 새 장을 쓰기 위해 미국 전역의 사람들, 기업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플의 투자 발표는 미국 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관세에 대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는데, 애플은 아이폰 등 자사 기기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에 판매한다. 중국 추가 관세는 애플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앞서 지난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쿡 CEO가 백악관 집무실에 와서 수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말했다“고 했다. “쿡 CEO가 멕시코에 있는 두 개 공장을 중단하고 대신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그들은 관세를 피하고 싶어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