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美 선량함 이용해 한일, 무역서 이득"

최현재 기자
이승훈 기자
입력 : 
2025-01-30 17:44:29
수정 : 
2025-01-30 17:52:1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미국 친구국가들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해왔다고 주장하며 관세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그는 일본의 철강과 한국의 가전제품이 미국을 단순히 이용해왔다는 점을 강조하며, 관세가 생산시설의 미국 복귀를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그는 특정 국가에 대한 표적관세보다 보편관세를 선호하며, 동맹국도 관세 적용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상무, 동맹에도 '관세' 시사
내달 7일 미·일정상회담 개최
◆ 트럼프 스톰 ◆
러트닉 장관 지명자
러트닉 장관 지명자
미국 무역정책을 총괄하게 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가 한국, 일본 등 동맹국이 무역에서 미국을 이용해 왔다며 관세로 대응할 것을 시사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상원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우리의 훌륭한 동맹국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며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생산시설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며 "관세가 기업들이 돌아와 미국에서 (제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러트닉 지명자는 특정 제품이나 특정 국가에 대한 표적관세보다 '보편관세'를 선호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관세를 활용해 미국으로 생산기지 이전을 촉진하려는 전략에 '동맹국'이라고 해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우리의 적인 중국에 대한 관세가 제일 높아야 한다"면서도 "미국이 유럽에서 미국산 자동차를 팔 수 없다는 사실은 잘못됐다. 그들은 우리 동맹이지만 우리를 이용하고 있다. 그것을 끝내고 싶다"고 말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결정한 외국 기업에 대한 반도체지원법(칩스법)상 보조금 지급 계약 이행과 관련해서는 장담할 수 없다고 밝혔다. 러트닉 지명자는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할 수 없다"며 "(보조금 지급을) 이행하려면 먼저 계약을 분석하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첫 미·일 정상회담이 다음달 7일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은 복수의 미·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간 정상회담을 7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여는 방향으로 양국 정부가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스톰'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트럼프 대통령과 접점을 만들려고 분주한 가운데 일본이 발 빠르게 정상회담을 추진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현재 기자 / 도쿄 이승훈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