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7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가능성 제기에 투심이 위축됐지만 장 막판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이 전해지면서 반등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70% 오른 4만1113.97로 마감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43% 오른 5631.27로 마무리됐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0.27% 오른 1만7738.16에 거래를 마쳤다.
Fed는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를 연 4.25~4.5%로 동결했다. FOMC는 성명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도 올라갔다”고 우려했다.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을 경고했다고 볼 수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관세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며 “관세 인상이 지속된다면 인플레이션, 성장,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앞서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 도입한 AI 반도체 수출 규제를 폐지할 것이란 블룸버그 통신의 보도도 장 막판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이 같은 소식에 엔비디아는 3.1% 상승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