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TDF보다 디딤펀드가 하락장에서 잘 버텼다

김제림 기자
입력 : 
2025-03-18 17:20:30
수정 : 
2025-03-18 19:04:5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금계좌에 담기는 밸런스펀드(BF)인 디딤펀드가 하락장에서 타깃데이트펀드(TDF)보다 방어력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한 달 동안 미국 S&P500지수가 7% 하락했지만, 29개 디딤펀드의 수익률은 -4.98%~0.08%로 TDF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디딤펀드는 시장 상황에 따라 위험자산 비중을 조절해 자산가치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안전자산 비중이 높은 TDF와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美 S&P500지수 떨어지는 동안
시장 따라 주식비중 조절되는
디딤펀드 하락률 절반 그쳐
사진설명


연금계좌에 주로 담기는 타깃데이트펀드(TDF)보다 밸런스펀드(BF)로 알려진 디딤펀드가 하락장에서 더 방어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딤펀드는 시장 상황에 따라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을 조절해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 비중이 정해지는 TDF보다 하락장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

1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미국 S&P500지수가 7% 하락할 동안 29개 디딤펀드의 한 달 수익률은 -4.98~0.08%로 나타났다.

반면 TDF 수익률은 -7.77~-1.09%로 대부분의 개별 펀드 수익률이 디딤펀드보다 낮았다. 1개월 수익률 상위 펀드를 볼 때 디딤펀드는 'HDC디딤모아주고막아주는 펀드'가 0.08%를 기록했으며 'iM에셋디딤든든EMP펀드'(-0.49%)나 '대신디딤올라운드자산배분펀드'(-0.65%)의 수익률도 하락장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그러나 TDF는 안전자산 비중이 높은 2025빈티지나 2030빈티지도 하락장의 영향을 피하지 못했다.

디딤펀드는 작년 말 자산운용 업계가 공동 출시한 BF다.

주식 비중은 50%로 제한되는 자산운용 전략을 쓴다. 주식 비중이 70%가 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형퇴직연금(IRP) 계좌에서도 적립금을 전액 투자할 수 있다.

또 다른 자산배분펀드 유형인 TDF와의 차이는 디딤펀드는 위험자산 비중을 일정한 범위로 유지하되, 시장 상황과 자산가치 변동에 따라 자산배분을 조정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주식 가치가 크게 올랐을 때는 일부 매도하고 하락하면 다시 매입하는 식으로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김제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