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밸류업 ETF 강세…액티브형, 패시브만 못하네

정유정 기자
입력 : 
2025-03-12 11:26:4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면서 올해 들어 패시브형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TIGER 코리아밸류업은 6.58% 상승하는 등 주요 패시브형 제품들이 고른 성과를 냈다.

반면, 액티브형 ETF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TIMEFOLIO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1.89%에 그치는 등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패시브형 ETF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액티브형은 방어적 성격의 종목들로 인해 성과가 제한된 것으로 분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패시브형 상품 5~6%대 상승
액티브형 ETF 수익률은 저조
지난해 11월 4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한국거래소 한국자본시장 콘퍼런스 2024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등 참석자들이 밸류업 ETP 상장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4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한국거래소 한국자본시장 콘퍼런스 2024에서 김병환 금융위원장,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등 참석자들이 밸류업 ETP 상장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스피 지수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올해 들어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패시브형 ETF가 5~6%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선전한 반면, 액티브형 ETF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12일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TIGER 코리아밸류업’은 올해 들어 6.58% 상승했다.

같은 기간 ‘KODEX 코리아밸류업’도 6.39% 오르며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이밖에도 ‘SOL 코리아밸류업’(6.76%), ‘1Q 코리아밸류업’(6.78%), ‘RISE 코리아밸류업’(6.37%), ‘PLUS 코리아밸류업’(5.69%) 등 주요 패시브형 상품들이 고른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액티브형 ETF는 패시브형 대비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TIMEFOLIO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올해 들어 1.89% 오르는 데 그쳤다.

이 기간 ‘TRUSTON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2.32%, ‘KoAct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4.51% 올랐다.

패시브형 ETF인 TIGER 코리아밸류업의 경우 SK하이닉스(15.59%), 삼성전자(13.43%), 셀트리온(5.22%), 현대차(5.13%), KB금융(4.91%), 기아(4.60%) 등으로 구성돼 있다.

TIMEFOLIO 코리아밸류업액티브의 경우 SK하이닉스(14.55%)와 삼성전자(12.11%)를 가장 많은 비중으로 담고 있으나, 한화에어로스페이스(6.56%), 삼양식품(4.70%), 포스코인터내셔널(4.68%) 투자 비중을 높이며 구성 종목에 차이를 뒀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삼양식품 등 일부 종목이 올해 크게 올랐지만, ETF 전체 수익률을 끌어올릴 만큼 비중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TRUSTON 코리아밸류업액티브는 SK하이닉스(5.45%), KB금융(4.97%), 삼성물산(4.82%), 삼성전자(4.78%), 신한지주(4.66%) 등에 투자하고 있다.

삼성물산, 신한지주와 같이 방어적 성향이 강한 종목의 올해 상승 폭이 제한되면서, 패시브형 상품 대비 낮은 성과를 본 것으로 해석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