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무안공항 참사 여파…제주항공·애경그룹株는 ‘뚝’, 에어부산·항공기 부품株는 반사이익

정상봉 기자
입력 : 
2024-12-30 16:16: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제주항공과 애경그룹의 주가가 큰 하락세를 보였다.

제주항공의 주가는 8.65% 하락하며 7500원에 마감했고, AK홀딩스와 그 계열사들도 각각 12.12%, 4.76%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사고 원인으로는 조류 충돌과 기체 결함이 거론되며, 업계에서는 항공업계 전반에 걸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제주항공 –9%, AK홀딩스 –12% 등
주요 LCC 하락세 속 에어부산 ‘반짝’
항공기 부품 종목들도 수혜 기대감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여파로 제주항공을 비롯한 애경그룹과 저비용항공사(LCC) 등 관련 종목의 주가가 큰 변동성을 보였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이날 전 거래일 대비 8.65% 하락한 7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전날인 29일 오전 무안공항에 착륙하던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활주로 주변 시설과 충돌해 탑승객 181명 중 생존자 2명을 제외한 전원 사망하는 사고가 났다.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랜딩 기어 등 기체 결함이 사고 원인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안전성 문제와 소비자 불안 등이 가중되며 주가 하락으로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항공의 지분 50.3%를 갖고 있는 AK홀딩스를 비롯한 애경그룹 종목들도 주가에 타격을 입었다.

AK홀딩스는 전 거래일 대비 12.12% 떨어진 9640원에 거래를 마쳤고, 계열사인 애경산업과 애경케미칼도 각각 4.76%, 3.8% 하락하며 장을 마무리했다.

이날 주가 하락으로 제주항공과 AK홀딩스의 시가총액은 각각 8.78%, 12.22% 줄어들었다.

업계에서는 이번 참사로 항공업계 전반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불안정한 국내 정세 및 경기와 맞물려 항공여객 수요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면서 “안전 문제와 소비자 불안은 어느 항공사도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LCC를 비롯한 주요 항공사 종목들은 이날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티웨이항공과 진에어는 장 초반 각각 7.26%, 5.35%까지 올랐으나 국토부에서 이번 사고 여객기 기종인 미국 보잉사의 B737-800 기종을 전수조사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각각 3.22%, 2.83%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전 기종을 에어버스사의 기종으로 운영하며 2013년부터 10만편 이상 운항한 국내 항공사 중 유일하게 사고·준사고가 없는 곳으로 알려진 에어부산의 주가는 이날 장중 최대 25.56%까지 치솟았다가 3.14% 오른 2300원으로 장을 마무리했다.

에어부산의 최대주주인 아시아나항공도 장중 등락을 오가다 2.16% 오른 1만4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한편 국토부의 사고 여객기 기종 전수조사 소식과 함께 항공기 부품 관련 종목들도 강세를 보였다.

캔코아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카본이 각각 4.16% 3.07%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엠코리아는 장 초반 22.67%까지 급등하며 최대 수혜주로 부각되는 듯했으나 단기 차익 매물이 쏟아지며 2.44% 하락한 2195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