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증권

신창재 회장, 한달내 주식가치 제시해야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어피너티컨소시엄 간의 주식매수청구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을迎아, 신 회장이 어피너티 측의 감정평가 기관을 선정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양측 간의 핵심 쟁점인 풋옵션 주당 가격을 다시 산정해야 하며, 교보생명은 FI 측이 요구한 가격보다 낮게 측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신 회장은 조 단위 자금을 조달하거나 투자자를 확보해야 할 상황으로, 기존 FI 지분을 갚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2년 끈 교보생명訴 2차 결론
외부 평가기관 감정가 관건
어피너티측과 줄다리기 예상
풋옵션 행사땐 조단위 자금필요신회장 지분 담보 대출 가능성
사진설명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과 재무적투자자(FI)인 어피너티컨소시엄 간 주식매수청구권(풋옵션) 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논란의 핵심이었던 풋옵션의 가치를 이제 신 회장 측이 제시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19일 법조계와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제상업회의소(ICC)의 이번 결정으로 신 회장은 30일 이내에 어피너티 측 감정평가 기관을 선임해야 한다. 감정평가 기관이 가격을 재산정하기까지는 수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양측 간 분쟁의 핵심은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주당 가격이다. 신 회장 측과 FI 측은 계약 당시 공정시장가치(FMV)에 따라 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고 정했다. 이후 2018년 FI 측이 선정한 산정 기관에서는 41만원을 제시했다. 어피너티 측이 사들인 가격(24만5000원)에 비해 70% 높은 수준이다. 교보생명 측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다만 두 번의 ICC 중재를 통해 풋옵션 가치를 산정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계약서에 따르면 신 회장 측이 산정 기관을 선정해 제시해야 한다. 이 가격이 FI 측 가격과 10% 이상 차이가 날 경우 FI 측이 새로운 가격 산정 기관 3곳을 제시하고, 이 중 한 곳을 신 회장이 택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외부 기관에서 가격을 정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양측 간 공방전이 한동안 지속되거나 타협점을 찾아 해결이 될 수도 있다.

교보생명은 풋옵션 가격을 다시 산정하게 되면 FI가 요구한 수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 가격이 책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현재로서는 풋옵션 가격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결정될지는 미지수다. 다만 신 회장은 조 단위 자금을 자체 조달하거나 우군을 확보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교보생명은 신 회장이 투자자 확보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여력은 마련했다는 입장이다.

현재 신 회장이 보유한 교보생명 지분은 36.7%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선 신 회장이 자신의 지분을 담보로 새 투자자를 유치해 기존 FI 지분을 갚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이희조 기자 / 나현준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