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금융위에 혐의 통보
내부자·투자조합 관여 증가
"점차 규모 늘고 조직화 추세"
내부자·투자조합 관여 증가
"점차 규모 늘고 조직화 추세"
지난해 증시에서 내부자나 투자조합이 관여하고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관련된 불공정거래가 크게 늘었다.
13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위원회에 혐의 사건을 통보한 부정거래 33건 중 29건이 회사 내부자가 관여한 사건이었다. 또 투자조합의 익명성을 악용해 실제 인수자를 은폐하고 자금을 추적하기 어렵게 하는 등 투자조합이 관여한 부정거래는 21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부정거래는 무자본 인수·합병(M&A)과 각종 테마 관련 불공정거래가 늘어나며 불공정거래 유형 중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거래소는 부정거래, 시세조종, 미공개 정보 이용 등에서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 99건을 금융위에 통보했다. 라덕연 관련 차액결제거래(CFD) 사태에서 보듯 저유동성 종목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주문을 낸 뒤 레버리지를 극대화하는 초장기 시세조종도 등장했다.
주요 불공정거래 혐의자는 사건당 평균 20명으로 전년보다 43% 많아졌고, 시세조종 혐의자도 평균 25명으로 전년 대비 66% 늘었다. 사건당 평균 추정 부당이득 금액 역시 79억원으로 전년보다 33억원 증가했다.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관계자는 "불공정거래가 대규모·조직화되고 추정 부당이득 규모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CFD 계좌는 미공개 정보 이용 불공정거래에도 악용됐다. 실제 투자자를 파악하기 어려운 CFD 계좌의 익명성과 레버리지 특성을 활용해 투자 원금 대비 높은 부당이득을 얻는 데 활용한 것이다. 거래소는 무자본 M&A 등 지능적 복합 불공정거래와 총선 관련 정치 테마 등을 이용한 불공정거래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김제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