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해외 의약품공장 불시점검" 美FDA 관리감독 강화한다

김지희 기자
입력 : 
2025-05-11 17:28:54
수정 : 
2025-05-11 19:41:2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정부는 해외 의약품 제조시설에 대한 불시점검을 강화할 계획을 발표하며, 인도와 중국에서 시범 운영 중인 프로그램을 다른 국가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고, FDA의 규제·감독이 표준이 되도록 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바이오 업계도 해당 조치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미국 내 제조업체와 해외 제조업체 간의 규제가 공평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던 가운데, FDA는 외국 제조시설의 결함이 미국 내 조사에서 발견된 것보다 두 배 이상 심각하다고 발표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中·인도에만 적용하던 조치
한국 등 다른 나라까지 확장
사진설명
미국 정부가 해외 의약품 제조시설에 대한 불시점검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미국은 현재 인도와 중국에서 해외 불시점검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 중인데, 이를 다른 나라로까지 확대하는 조치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6일(현지시간) 의약품을 만드는 해외 제조시설에 대한 불시점검을 확대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했다. FDA는 해외 제조시설을 대상으로 불시점검을 강화함으로써 FDA의 규제·감독이 표준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다. 아울러 미국 내 검사와 해외 검사 간에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만들겠다는 의지도 포함돼 있다.

글로벌 빅파마의 의약품을 생산하는 국내 바이오 업계도 이번 조치의 영향권에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에서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를 확대 중인 셀트리온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두 회사 모두 글로벌 기준에 엄격하게 맞춘 생산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FDA 내부에서는 미국의 의약품 제조업체와 해외 제조업체 간 규제·감독이 공평하게 이뤄지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미국 내 제조업체에는 예고 없이 방문해 실사를 진행하지만 외국 제조시설은 사전 통지를 통해 실사를 시행하기 때문이었다. FDA는 그 근거로 외국 기업들이 사전에 경고를 받았음에도 여전히 미국 내 조사에서보다 두 배 이상의 심각한 결함을 발견했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핵심 의약품의 미국 내 생산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 행정명령을 발표한 한 바 있다. 여기에는 △FDA 외국 실사 수수료 인상 △환경보호청(EPA)을 통한 의약품 생산시설 건설 가속 △FDA의 해외 제조시설 정기 검토 보장 △외국 시설에 대한 연간 검사 횟수 공개 등의 내용이 담겼다.

[김지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