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상호관세 대응 총력
車산업 비중 높은 경남·울산
수출기업에 긴급 자금 수혈
해외 판로 다변화 모색나서
반도체 도시 충북도 초긴장
2200개사에 무역보험 지원
車산업 비중 높은 경남·울산
수출기업에 긴급 자금 수혈
해외 판로 다변화 모색나서
반도체 도시 충북도 초긴장
2200개사에 무역보험 지원

광주광역시도 금호타이어 등 자동차 부품 기업을 중심으로 수출 경쟁력에 커다란 타격이 예상된다. 광주시는 자동차 산업과 관련한 긴급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대미 네트워크를 활용한 물밑 협상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금호타이어는 아예 조지아 공장 증설을 검토하는 등 현지 투자 확대도 고민하고 있다.
GM 창원공장이 있는 경상남도에도 비상이 걸렸다. 경남도는 대미 수출 기업의 경영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100억원을 신설해 미국에 직간접 수출 실적을 보유한 기업당 최대 5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수출 기업당 200만원의 물류비 지원과 수출보험 8종, 수출보증 6종, 수입보험 2종에 가입할 수 있는 수출보험료를 확대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이 위치해 현대차 협력사만 5000여 개가 있는 울산시는 '통상정책 비상대응 전담반'을 구성했다. 이를 통해 미국 통상정책 변화와 관련해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출 시장 다변화, 환변동 리스크 대응을 위한 무역보험 지원 확대 등 실질적 지원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충청북도는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에 납품하는 기업이 많아 긴장감이 높다. 충북도는 지역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200개사에 무역보험 가입을 지원하고, 수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육성자금을 4950억원에서 5120억원으로 확대한다.
철강산업 중심지인 전라남도 역시 대응에 나섰다. 전남도는 광양시·순천시, 유관기관 및 기업인 등 28명으로 구성된 '전남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를 발족하고, 정책 자문과 기업 애로 해소, 정부 공동 건의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TF를 꾸려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인력 양성, 규제 개선 등을 추진하며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지역 철강산업 기반 유지를 위한 대응에 나선다. 이 밖에 지자체들은 다각적인 지원책 마련에 나섰다. 경기도는 중소기업 긴급 자금 지원부터 수출 바우처까지 전방위 대응책을 담은 '트럼프 관세 대응 위한 경기도 비상경제회의 후속조치'를 발표했다.
부산시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고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부산시 비상 수출 대책 2.0'을 시행한다. 비상 수출 대책 2.0은 관세 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 대응체계 구축 등 5개 분야 10대 핵심 과제로 구성됐다.
강원도는 전체 수출액의 15%(지난해 기준)를 차지하는 대미 수출 차질을 우려하면서 수출 시장 다변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또 도내 수출 기업을 위해 수출보험료와 수출물류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대현 기자 / 조한필 기자 / 서대현 기자 / 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