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나랏돈 노인 복지에 다 쓸 판”…MZ 80% “노인 기준 연령 높여야”

김정범 기자
입력 : 
2025-03-17 19:44:01
수정 : 
2025-03-17 20:46: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가운데 MZ세대 10명 중 8명이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 중 58.2%는 건강 상태 개선을, 31.7%는 복지비용 증가로 인한 재정 부담을 이유로 들었다.

MZ세대는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하지 않을 경우 증가하는 복지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매일경제·어피티 20~40대 인식조사
응답자 81% “70세 이상이 적절”
복지 비용 증가 사회적 부담 우려
70%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높여야”
[사진 출처 = 픽사베이]
[사진 출처 = 픽사베이]

올해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가운데 MZ세대 10명 중 8명은 현재 만 65세인 노인 기준 연령을 높이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명 중 1명은 복지비용 증가로 인한 재정 부담을 이유로 노인 연령 상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매일경제가 MZ 미디어 플랫폼 ‘어피티’와 함께 이달 9∼12일 20~40대 남녀 378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78.1%는 노인 기준 연령을 지금보다 높여야 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건강 상태가 이전보다 좋아졌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58.2%로 가장 많았고, ‘복지비용 증가로 재정 부담 우려’(31.7%), ‘취약계층의 복지 공백을 메우는 게 우선’(7.9%)이라는 응답 순이었다.

노인 기준 연령 상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미래 세대인 20~4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노인의 기준이 되는 65세는 1981년 노인복지법이 제정된 이후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법 제정 당시 기대수명은 66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82.7세까지 늘어나면서 당시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연령을 상향할 경우 ‘만 70세 이상’이 적정하다는 답변이 81.5%로 가장 많았고, ‘75세 이상’이라고 답한 비중도 21.5%나 됐다.

특히 MZ세대는 노인 기준 연령을 상향하지 않을 경우 노인 복지비용의 증가세를 감당하기 힘들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노인복지 혜택인 지하철 무임승차 대상 연령을 상향하는 것에 대해 MZ세대의 70.3%가 ‘동의한다’고 답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