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도 없이 반대만"… 교수들 성명서 내며 작심비판
전공의는 병원 안 돌아오고
의대생은 신입생도 수업거부
교수들 "의사 면허증 하나로
전문가 대접받고 싶나" 비판
"병원서 고생하는 동료 향해
존중은커녕 조롱만 일삼아"
전공의는 병원 안 돌아오고
의대생은 신입생도 수업거부
교수들 "의사 면허증 하나로
전문가 대접받고 싶나" 비판
"병원서 고생하는 동료 향해
존중은커녕 조롱만 일삼아"

'집단휴학'을 강요하는 의대생들과 '무조건 복귀 반대'를 외치는 전공의들을 보다 못한 스승들이 나섰다.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들에게 절망하고 '오만하다'고 일침을 날렸다. '의사 면허가 곧 전문가를 의미하지 않는다'며 진정한 전문가는 환자들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충고도 남겼다.
17일 서울대 의대와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하은진(신경외과)·오주환(국제보건정책)·한세원(혈액종양내과)·강희경(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이날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 이제는 결정할 때입니다'란 제목의 성명서를 냈다.
강희경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이날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의대생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시간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라며 "강의실로 돌아오길 원하는 의대생들에겐 당연히 그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강경파들의 행태를 비난했다.
강 교수는 또 "지금이 전쟁터라고 가정했을 때 전공의는 사직, 의대생은 수업 거부라는 재래식 무기로 승부를 보려 한다"며 "드론으로 전쟁하는 시기에 탱크로 맞서싸우겠다고 우기면 결국 백전백패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으로는 협상 테이블에 의료계가 합류하는 것을 꼽았다. 강 교수는 "의대생 복귀 시한은 다가오고 의료개혁 2차 실행 방안은 조만간 발표되는 상황"이라며 "개혁 방향이 제대로 갈 수 있도록, 의료계 주장에 대해 국민적 합의를 얻을 수 있도록 우리가 요구사항을 분명히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성명서는 구구절절 올곧은 지적을 담고 있다. 이들은 "(의사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 의료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의 페이스북 글들 등 그 안에는 환자에 대한 책임도, 동료에 대한 존중도, 전문가로서의 품격도 찾아볼 수 없는 말들이 넘쳐 난다"며 "정말 내가 알던 제자, 후배들이 맞는가, 이들 중 우리의 제자·후배가 있을까 두려움을 느낀다"고 적었다. 전공의·의대생들의 무대응 행보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들은 "여러분은 2000명 의대 정원 증가가 해결책이 아니라는 오류를 지적하면서 용기와 현명함을 보였지만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며 "오직 탕핑(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의 중국어)과 대안 없는 반대만이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교수들은 사직과 휴학을 스스로 선택한 전공의와 의대생이 아닌, 지난 1년간 외면 당한 환자와 그의 가족들이 이번 의정 사태 피해자임을 분명히 했다. 또 전공의들이 수련 과정을 '착취'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는 "수련 환경이 가혹하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3~5년간 소양을 길러야 전문의가 되는 것"이라며 "전공의 과정이 힘들다고 해서 전문의가 된 뒤에도 그렇게 살고 있나. 대다수는 고액 연봉을 받으며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지 않나"라고 되물었다.
병원에 남은 의료진을 향한 내부 조롱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들은 "여러분은 현장을 지키는 동료 의사, 교수들을 비난하며 그들의 헌신을 조롱하고 블랙리스트를 만드는데 대체 동료애는 어디에 있나"라며 "'의사만이 의료를 할 수 있다'는 오만한 태도로 간호사나 보건 의료직들을 폄하하는 말을 서슴지 않는데 솔직해져 보자. 응급실에서의 응급 처치, 정맥 주사 잡기 등 술기를 응급 구조사, 간호사들에게 배우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이번 성명서는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시한을 앞두고 수업 재개 움직임을 독려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심희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