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익명 뒤에 숨어 모녀 죽음으로 내몬 뻑가, 신상 털렸다…30대 후반 남성

안서진 기자
입력 : 
2025-02-21 20:27: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유튜버 뻑가의 본명이 박 모 씨로 밝혀지며, 그는 악성 사이버 레커로 알려져 있다.

그는 허위 사실 유포로 고(故) BJ 잼미의 극단적 선택과 관련해 책임을 지적받으며, 현재 유튜브 수익도 정지된 상태다.

법무법인 리우는 뻑가 외에도 유사한 채널들의 신원 정보도 확인했다고 전하며, 법적 책임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출처=뻑가 유튜브 캡처]
[사진출처=뻑가 유튜브 캡처]

국내 유튜버 중 악성 사이버 레커로 알려진 유튜버 ‘뻑가’의 신상이 특정됐다.

21일 스포츠경향에 따르면 BJ 과즙세연(본명 인세연)의 소송을 대리하는 법무법인 리우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북부 지방법원으로부터 뻑가에 대한 증거개시 요청 일부를 승인받았다.

그 결과 뻑가 채널 운영자는 한국에 거주하는 30대 후반 남성 박 모 씨인 것으로 파악됐다. 입수된 기타 개인정보는 과즙세연이 뻑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뻑가는 구독자 114만명을 가진 유튜버로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사이버 레커 유튜버’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영상에서 검은색 모자와 큰 선글라스를 쓰고 턱에는 마스크를 걸쳐 얼굴을 철저하게 감춰왔다.

익명성 뒤에 숨어 타인을 저격하거나 근거 없는 내용으로 자극적인 루머를 퍼뜨리는 혐오 조장 콘텐츠를 제작해 왔다.

특히 그는 고(故) BJ 잼미가 남성 혐오 페미니스트라고 허위 사실을 유포하면서 그를 죽음에 이르게 했다.

잼미가 “엄마가 나 때문에 죽은 것 같다. 내가 방송을 안 했으면 안 죽었겠지, 방송에서 그 행동을 안 해서 악플이 달리지 않았다면 엄마가 마음고생 안 했겠지”라며 호소했을 때도 저격 영상을 올렸다.

이후 온라인에서 잼미의 극단 선택에 뻑가의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그는 사과 영상을 올리고 활동을 중단했다가 6개월 만에 복귀했다.

이외에도 뻑가는 딥페이크 범죄 피해를 우려하는 여성들을 조롱하며 혐오 발언을 쏟아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다.

유튜브 코리아 측은 뻑가의 수익 창출을 정지한 상태다.

과즙세연의 경우, 하이브 방시혁 의장과 과즙세연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목격됐다는 내용을 다루면서 과즙세연이 금전적 대가를 받고 성관계했고 라스베이거스에서 도박했다는 등 주장을 펼쳤다.

이에 과즙세연은 지난해 9월 뻑가를 상대로 국내 법원에 허위 사실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고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드러나게 됐다.

한편 뻑가의 신상을 밝힌 정경석 법무법인 리우 변호사는 “뻑가 뿐만 아니라 유사한 다른 채널들에 대한 신원정보도 확인됐고 그 과정에서 채널 자체가 여럿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그렇다고 법적 책임까진 소멸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