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한덕수 "계엄 국무회의 실체적 흠결 있었다고 생각"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서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에 형식적·실체적 흠결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해당 국무회의의 적법성 판단은 사법부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자신이 비상계엄을 반대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야당의 예산 삭감과 잇단 탄핵 시도에 대해 비판하며, 탄핵 발의 건수가 국민의 기대에 부합하는지를 정치권이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尹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
야당 줄탄핵에 날선 비판도
尹, 첫 형사재판 … 법원 출석
◆ 尹대통령 파면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한덕수 국무총리가 비상계엄 선포 직전에 있었던 국무회의는 형식적·실체적 흠결이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무회의의 절차적 적법성에 대한 최종 판단은 사법부를 통해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20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한 총리는 비상계엄령이 헌법과 계엄법에 따른 국무회의 심의를 제대로 거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통상의 국무회의와는 달랐고, 형식적·실체적 흠결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국무회의인지 아닌지는 수사와 사법 절차를 통해 판단돼야 한다고 이야기해왔다"고 답했다.

한 총리는 또 자신이 비상계엄을 반대했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대통령으로부터 오라는 연락을 받은 뒤 (국무위원들이) 순차적으로 모였고,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듣고 모두가 걱정하고 만류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전했다. 한 총리는 비상계엄 해제 의결 이후 실제 조치가 나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흐른 이유에 대해서는 "해제를 위한 국무회의는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해 안건을 만들고 국무위원들을 용산으로 소집하는 등 과정에 꽤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날 야당의 정부 예산 삭감과 줄탄핵 시도에 대해 날 선 비판을 쏟아내기도 했다.

그는 윤 대통령 측이 "정부 예산안을 야당이 단독 삭감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냐"라고 한 질문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탄핵은 헌법 수호를 위해 써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며 "탄핵이 29건 발의됐는데 그 건수가 국민의 눈높이와 맞는 것인지는 정치권이 심각하게 논의하고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내란 우두머리 혐의에 대한 형사재판과 구속취소 심문을 위해 법원에 출석한 윤 대통령 측은 대통령이 불법 구금됐다는 주장을 펼쳤다.

윤갑근 변호사는 "구속 사유는 소멸됐고 현재 불법 구금 상태란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며 "재판장께서 현명한 결정을 하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민기 기자 / 이수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