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거북이 보다 느린 인천 원도심 상습 정체 구간 확 바꾼다

지홍구 기자
입력 : 
2025-02-04 11:03:1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천시 동구와 중구 일대를 포함한 원도심에서 상습 교통 체증 문제가 심각하며, 이 지역의 교통 서비스 수준은 최악인 F등급으로 평가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시는 최첨단 지능형 교통 체계를 도입하고, 다양한 스마트 교차로 및 감응형 신호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통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이 시스템을 통해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인천시, 중·동구·옹진·강화 358.49㎢에 스마트 교차로 구축
인공지능이 실시간 교통량 분석해 최적 교통 신호 시간 제공
지난 4년간 간선도로 568km에 최첨단 시스템 구축한 결과
차량 흐름 안정·교통사고 발생 감소·골든타임 준수율 95% 성과
인천 원도심 스마트 교통 시스템 구축 대상지. <인천시>
인천 원도심 스마트 교통 시스템 구축 대상지. <인천시>

인천시 동구 수인사거리에서 신흥사거리를 잇는 서해대로는 운전자들이 피하고 싶어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 들어서면 느림보 통과는 각오해야 한다. 통과 시속이 7.6km에 불과하다. 인천시가 지난해 1월, 도로의 질적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교통 서비스 수준(LOS)을 평가해 보니 6개 등급(A~F) 중 가장 나쁜 상태를 의미하는 F등급 구간으로 확인됐다. 운전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습 정체 구간이었다. 동구와 붙어 있는 중구도 마찬가지다. 신광사거리에서 수인사거리를 연결하는 인중로 역시 평균 시속이 8.8km다. 동구와 중구에 걸쳐 있는 제물량로(신흥사거리~신광사거리)도 평균 시속이 9.3km로 나타났다. 이들 구간은 모두 원도심이란 공통점이 있다.

신도심으로의 인구이동으로 도심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인천 원도심이 상습 차량 정체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거주 인구는 적지만 인천항 등 물류 인프라스트럭처가 연결돼 있고, 도심 이동 차량이 몰리면서 상습 도로 정체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중교통수단이 열악한 옹진군과 강화군도 관광객 차량 등으로 인한 교통 체증이 심각하다. 상습 정체 구간을 확·포장하고 도로를 신설하면 해결될 문제지만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문제다.

인천시는 최첨단 지능형 교통 체계를 도입해 원도심의 상습 교통 체증 문제를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4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민선 8기 원도심 개발 프로젝트인 제물포 르네상스 지구(중·동구 일대)와 강화·옹진군에 다기능 스마트 교차로, 감응형 신호제어를 구축하고, 운전자에게 신호정보를 실시간 개방해 원도심 교통복지를 실현한다.

최첨단 교통 시스템이 구축될 곳은 중구 14.55㎢, 동구 7.2㎢, 강화 309㎢, 옹진군 영흥도 27.74㎢다.

총 358.49㎢ 구간에 다기능 스마트교차로 20세트, 감응형 신호제어 4세트를 구축하고, 운전자에게 교통 신호 정보를 실시간으로 개방(30개소)한다. 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기술인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 시설과 교통 기반 정보도 함께 구축한다.

다기능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은 차량번호와 교통량, 정체시간, 정체 길이, 교차로 별 혼잡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 교통 효율·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좌회전 감응형 신호제어는 원도심 내 차량의 불필요한 좌회전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현실 세계의 물리적인 대상이나 프로세스를 디지털로 모형화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디지털 트윈은 투자 비용 절약은 물론 교통체증까지 잡을 것으로 시는 판단하고 있다.

특히 강화군청 주변에 인공지능(AI) 기반으로 도출한 실시간 교통량 분석과 최적의 교통신호시간을 적용해 강화대로의 심각한 차량 정체 문제를 해소해 나가기로 했다.

인천시는 지난 2021년부터 최근까지 2단계에 걸쳐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서구·연수구·부평구·계양구·남동구 등에 걸쳐있는 간선도로 73개 노선 568km에 최첨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구축해 교통 서비스 수준 C등급(안정된 교통류), 교통사고 발생 감소, 골든타임 준수율 95%,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적 교통정책 지원 등의 성과를 거뒀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원도심에 생활밀착형 스마트 교통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면 차량 지체 정도와 꼬리물기·정지선 위반 등의 교통 현안을 해결할 수 있고, 유지관리·운영상 문제와 오작동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도 교통환경을 꾸준히 개선해 시민에게 보편적 이동권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