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정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에 긴급생계비 300만원 지급

김현정 기자
입력 : 
2025-01-10 13:23:1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에게 긴급생계비 300만원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그는 유가족별로 도움을 세심히 파악해 지원을 확대하고, 기본적으로 보관되던 유류품에 대한 요청이 있을 경우 보관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또한, 항공사와 공항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통해 안전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긴급 안전조치를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2일째인 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참사 기체와 로컬라이저 둔덕에 눈이 쌓이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2일째인 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참사 기체와 로컬라이저 둔덕에 눈이 쌓이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10일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관련해 “국민 성금 모금 기간이 끝나지 않았지만, 오늘 일차적으로 긴급생계비 300만원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고 대행은 이날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5차 회의’ 모두발언에서 “긴급돌봄은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원 한도와 대상을 확대해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있다”며 “유가족별로 지정된 전담 공무원을 유지하며 필요한 사항을 세심히 파악해 지원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기본적으로 6개월간 보관되던 유류품에 대해서는 유가족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해 보관 기관을 연장하기로 했다.

비행기록장치(FDR)는 미국 교통안전위원회와 함께 전날부터 자료를 추출하고 있으며, 객관성과 공정성, 투명성 등 원칙 속에 사고 원인 조사를 철저히 진행한다.

그는 “국민께서 안심할 수 있도록 공항과 항공사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통해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가능한 것은 즉시 조치하겠다”며 “지난 8일 전국 13개 공항의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완료해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부는 우선적으로 국내 11개 모든 항공사를 대상으로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된 공항에 취항하는 경우 운항 경험이 많은 조종사 위주로 운항하고, 운항 때마다 특별교육을 하도록 긴급 안전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