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1/04/news-p.v1.20250104.9d51e5b26413470e883041bbddbbf3bf_P1.jpg)
여인형 국군 방첩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육군사관학교 선배인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체포 대상자의 소재 파악을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4일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실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83쪽 분량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공소장에는 여 사령관과 홍 전 차장이 이 같은 취지로 대화한 통화 내용이 적시됐다.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달 3일 오후 11시 6분께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여 사령관은 “선배님 이걸 도와주세요”라며 “저희 체포조가 나왔는데 (체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안 돼요. 명단 불러드릴게요”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홍 전 차장은 육군사관학교 43기로, 여 사령관(48기)보다 5기수 선배다.
둘의 통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발표로부터 40분가량 지난 시점에 이뤄졌다.
오후 10시 25분께 계엄을 선포한 윤 대통령이 28분 후 홍 전 차장에게 연락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라고 지시하면서 홍 전 차장이 여 사령관에게 먼저 전화를 걸었다고 검찰은 파악했다.
당시 여 사령관은 김 전 장관에게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주요 인사 10여명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고서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에 수사 인력 지원을 요청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러던 중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가 오자 국정원에 체포 대상인 주요 인사의 소재 파악을 부탁한 것이다.
당초 10명이 넘었던 체포 명단은 국회로 의원들이 모여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가결이 임박해지면서 대폭 줄었다.
김 전 장관이 가결을 저지하려 이 대표, 한 전 대표, 우 의장을 우선 체포하라고 지시해서다.
여 사령관이 명령을 휘하 병력에 전달하면서 ‘포승줄·수갑 이용’과 같은 구체적 지침도 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