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검찰, ‘내란중요임무’ 여인형·이진우 기소

권선우 기자
입력 : 
2024-12-31 16:20:0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과 이진우 국군수도방위사령관이 내란 관련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검찰 조사에 따르면 여 사령관은 주요 정치인 체포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산 서버 확보를 지시했으며, 이 사령관은 비상계엄 대비 계획을 세우고 병력 출동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사건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이어 두 번째로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된 인사의 재판이다.

글자크기 설정

정치인 체포조 명단 작성하고 편성 지시
중앙선관위에 병력 115명 파견, 국회 무장병력 출동
휴대전화로 ‘문을 부수는 도구·쇠 지렛대’ 검색도
여인형 방첩사령관(왼쪽), 이진우 국군수도방위사령관 [자료=연합뉴스]
여인형 방첩사령관(왼쪽), 이진우 국군수도방위사령관 [자료=연합뉴스]

비상계엄 사태에서 주요 인사 10여명을 체포하는 역할을 맡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과 계엄선포 뒤 병력을 국회에 투입한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이 재판에 넘겨졌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특수본·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31일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과 이진우 국군수도방위사령관을 내란 중요임무 종사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비상계엄 사태 관련 인물이 재판에 넘겨진 것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후 이들이 두 번째다.

검찰에 따르면 여 사령관은 계엄 당시 국회 등에 방첩사 병력을 보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주요 인사 14명에 대한 체포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산 서버 확보를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이 사령관은 국회를 봉쇄하고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하기 위해 1경비단과 군사경찰단 병력을 국회로 출동시키고, 이 중 일부를 국회 경내로 진입시킨 혐의가 있다.

이 사령관은 계엄 때 윤 대통령으로부터 ‘아직도 못 갔냐, 뭐하고 있냐, 문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는 등의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특수본은 이날 이들을 구속기소하면서 여 사령관의 휴대전화 메모 내용을 공개했다.

검찰 조사에 따르면 여 사령관은 계엄 선포 당일 오전 11시25분께 작성한 메모에 “합수본은 방첩수사단장의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1처장의 부정선거·여론조작 수사본부로 편성”이라며 “참모장은 경찰, (국방부) 조사본부로부터 각 100명씩 수사관을 파견받을 것”이라고 적었다.

또 “헌법과 법률에 의거,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의 합법적 명령에 의거 임무를 개시함”이라며 “국정원, 경찰, (국방부) 조사본부 등 모든 정보수사기관은 합수본부장 명에 따를 것임”이라고 적었다.

메모에는 “1처장은 사이버사령부로부터 사이버조사 전문팀을 파견받을 것”, “과학수사실, 정보보호단은 부정선거·여론조작 수사본부 지휘를 받을 것”이라는 내용도 있다.

검찰은 계엄이 선포되기 이틀 전인 12월 1일 오후 3시44분께 여 사령관이 ‘반국가세력 수사본부 구성’과 관련해 작성한 메모도 확보했다.

여기에는 여 사령관이 구체적으로 체포조 편성과 구금시설 준비를 지시한 정황이 담겼다.

해당 메모에는 “경찰·조사본부, 30명 위치파악, 합동체포조 운용”이라며 “수방사, 조사본부, 문서고 구금시설, 국군교도소 구금 운영 준비”, “특전사 경호대, 경호팀 운용”이라고 적혀 있다.

또 방첩수사관 5명, 군사경찰 5명, 경찰 5명, 경호대 5명 등 20명을 1개 팀으로 꾸리고, 장비·차량을 정밀 편성해 합동체포조 작전 개시와 함께 출국금지 조치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검찰은 이날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이 비상계엄 사태 하루 전인 2일 비상계엄 대비 계획을 정리한 휴대폰 메모도 공개했다.

이 사령관은 메모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한다는 사실이 전파되면 전 장병에게 TV 시청과 지휘관 정위치를 지시하고, 전 부대 장병에게 개인 휴대폰 통합 보관 조치와 영내 사이버 방 인터넷망 폐쇄를 지시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출동 병력 대상’이라는 항목 아래에 “흑복 및 안면마스크 착용, 컬러 태극기 부착, 야시장비 휴대, 쇠 지렛대와 망치, 톱 휴대, 공포탄 개인 불출 시행”이라고 적었다.

이 사령관의 메모에는 서울 방어의 핵심 임무를 수행하는 대테러부대 ‘수호신티에프(TF)’ 투입을 준비시킨 정황도 담겼다.

이 사령관은 메모에서 장관 회의 직후 수호신TF 출동을 지시하고 대테러 대기부대를 ‘선 투입’(먼저 투입)해 국회 본관에 배치하는 한편 ‘후속 1개 대대(+)’를 투입한다고 적어 1개 대대보다 많은 병력 투입을 검토했음을 나타냈다.

또 ‘(필요시) 서울시장·경찰청장과 공조통화 실시’라고도 적어 서울시와 경찰청에 협력을 구할 계획임도 기록했다.

검찰은 이 사령관이 메모 내용대로 작전계획을 보고하고, 실제로 계엄 선포 이후 김봉식 서울경찰청장과 수차례 통화하면서 경찰의 협조를 구해 수방사 병력이 국회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