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구성역 중심, 수도권 남부 교통허브로 조성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배후도시 기능을 할 수 있는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용인 플랫폼시티 일대는 GTX 구성역을 중심으로 수인분당선, 경부지하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연계한 ‘수도권 남부 교통허브’로 조성되며, 주거·상업·산업·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26일 경기도, 용인시에 따르면 ‘경기용인 플랫폼시티 도시개발사업’이 각종 행정절차를 마무리되고 지난 24일 개발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 인가가 완료됐다.
용인 플랫폼시티는 경기도와 용인시, 경기주택도시공사, 용인도시공사가 공동으로 협력해 시행하는 대규모 도시개발 프로젝트로,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마북동, 신갈동 일원 약 272만 9000㎡(약 83만평)에 약 8조 268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오는 30일 용인도시공사가 공사를 담당한 3공구 착공을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에는 경기주택도시공사가 1·2공구를 착공, 2030년까지 부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플랫폼시티는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영향평가 결과와 관련 기관 협의 등을 반영해 ▲주거용지 37만7718㎡(13.8%) ▲상업용지 15만8701㎡(5.8%) ▲산업용지 44만9705㎡(16.4%) ▲도시기반시설용지 162만9291㎡(59.8%) ▲기타시설용지 11만3454㎡(4.2%)로 계획됐다.
계획인구는 2만7283명으로, 주택 1만105가구를 공급하고, 공공임대주택은 1954가구로 전체 주택의 19%로 예정됐다.
특히 산업용지로 계획된 부지에는 반도체 R&D 기업 등 유수의 기업을 유치해 이동·남사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를 잇는 ‘L자형 반도체 벨트’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GTX 구성역 일대 9만여평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컨벤션센터, 호텔 등의 MICE 시설을 설치하고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창의적인 복합도시계획을 구축해 경기남부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이번 실시계획 인가를 통해 토지이용계획이 확정되고, 본격적인 공사 착수가 가능해져 용인의 새로운 중심이 될 복합자족도시로서 플랫폼시티 개발이 본격화됨을 의미한다”며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계획에 맞춰 공사를 차질 없이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총 728만㎡ (220만평) 규모로 조성되며,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팹 6개를 비롯해 최대 150개 규모의 협력업체가 입주할 예정이다.
내년에 토지 보상 착수, 2026년 산업단지 조성공사 착공, 2031년 준공할 계획으로 삼성전자에서는 2030년 말에 첫 번째 팹의 가동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