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중복수사 논란 해소 尹 직접수사 급물살

문광민 기자
강민우 기자
입력 : 
2024-12-18 17:50:18
수정 : 
2024-12-18 22:44:2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8일, 윤석열 대통령 수사 채널이 공수처로 단일화되며 수사기관의 중복 수사 논란이 사라졌다. 이로 인해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 수사가 속도를 낼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이번 사건 이첩에는 검찰의 내란죄 수사가 공소 제기의 적법성과 증거 능력에 대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검찰, 尹 수사 공수처로 넘겨
공수처가 대통령 소환 주도
2차 출석요구 일정 조율할듯
검찰 내부선 수사이관 불만
특수본부장, 대검 항의성 방문
사진설명


18일 윤석열 대통령 수사 채널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단일화되면서 수사기관의 중복 수사 논란이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에 대한 소환 조사 등 강제 수사가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이 윤 대통령 수사를 공수처로 이첩하기로 결정한 것은 향후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복 수사 논란을 해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 측은 그동안 수사 기관 간 경쟁 구도를 이유로 수사 주체가 명확히 정리되기 전까지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수사 주체에 대한 논란이 사그라들면서 윤 대통령 소환 일정에도 관심이 쏠린다. 검찰은 윤 대통령에게 지난 15일 오전 10시 서울중앙지검 출석을 요청했으나 윤 대통령이 불응하자 오는 21일로 출석을 요구하는 2차 통보를 보낸 바 있다. 다만 공수처로 수사 주체가 일원화되면서 검찰의 출석 요구는 무효가 될 공산이 크다.

앞서 공수처와 경찰의 공조수사본부도 윤 대통령에게 이날 오전 10시까지 출석해 조사받을 것을 통보했지만 윤 대통령이 협조하지 않아 무산됐다. 경찰 특수단은 이날 바로 윤 대통령에게 2차 출석 요구서를 보내는 방안을 공수처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대통령 수사와 관련된 활동은 모두 공조수사본부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이 '친정'인 검찰에 피의자로 출석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 이첩에는 검찰의 내란죄 수사가 공소 제기의 적법성과 증거 능력에 대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내란죄에 대한 직접적인 수사권은 경찰에 있고 검찰엔 없기 때문이다. 다만 공수처는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할 수 있지만 기소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다. 공수처는 수사를 마친 후 검찰에 사건을 송치해 검찰의 판단을 받아야 한다. 일각에서는 검경 수사권이 조정된 뒤 복잡한 수사 체계로 인해 이후 변호인단이 증거 능력에 대해 하나하나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다만 검찰 내에서 윤 대통령 수사를 공수처에 이관한 것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면서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오후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인 박세현 서울고검장은 대검찰청을 방문해 대검 지휘부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이 윤 대통령 내란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하기로 결정한 데 대한 항의성 방문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에 대해 박 본부장 측은 "아직 입장 정리가 안 됐다"고만 했다.

윤 대통령 외 다른 내란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도 이어지고 있다.

내란 실행 등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은 이날 경찰에 구속됐다. 신영희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증거 인멸과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노 전 사령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도와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한 의혹을 받고 있다. 공수처도 이날 경찰 특수단과 합동으로 문상호 정보사령관을 체포했다.

[문광민 기자 / 강민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