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인공혈액·조혈모세포 만들것" 우주실험으로 혁신기술 개발

심희진 기자
입력 : 
2024-12-16 17:32:0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톨릭대학교 연구팀이 복지부 주관 '의료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 의료기술 개발사업' 과제에 선정되어, 국제우주정거장과 인공위성을 활용해 인체유래유도만능줄기세포를 기반으로 조혈모세포와 인공혈액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한다.

미세중력을 적용한 세포배양 공정을 최초로 도입하며, 이 연구가 성공하면 혈액암, 빈혈, 면역결핍증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제도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총 연구비는 90억 원 규모이고 주관 기관인 서울성모병원 외에도 입셀, 루미르 등 관련 기업들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주지현 가톨릭의대 교수팀
첨단재생의료 국책사업 선정
사진설명
우주에서 실시한 생체반응 연구를 활용해 조혈모세포와 인공혈액을 대량으로 생산해내는 기술이 국내 최초로 개발될지 주목된다.

16일 가톨릭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주지현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첨단세포치료사업단장(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사진)과 조병식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교수, 임예리 가톨릭대 의대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국책사업 '의료난제 극복 우주의학 혁신 의료기술 개발사업' 과제에 선정됐다. 이번 연구는 국제우주정거장(ISS)과 인공위성(루미르 자체 위성 2호기)을 활용해 인체유래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기반으로 조혈모세포와 인공혈액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구 중력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세포가 분화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이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증식을 이뤄내기 위해 미세중력을 적용한 세포배양 공정을 최초로 도입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서울성모병원이 주관하고 주 단장이 이끄는 입셀, 루미르 등 관련 기업들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올해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총 연구비는 90억원 규모다. 입셀은 우주 환경을 활용해 iPSC 기반 재생의료 치료제를 만들고 루미르는 인공위성에 기초를 둔 세포 자동 배양 시스템을 구축한다. 서울성모병원은 각종 연구를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하는 임무를 맡는다. 연구는 총 5단계로 진행된다. 첫해에는 지구 중력 환경에서 조혈모세포 분화공정을 확립하고, 이후 실제 우주 환경에서 실증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2027년 4분기에는 루미르의 주도하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우주 바이오 캐비닛에서 실험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번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혈액암, 빈혈, 면역결핍증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 단장은 "우주 환경을 활용한 iPSC 기반 분화세포를 만들어내 국가 보건의료 기술과 우주의학 발전에 기여하겠다"며 "앞으로도 첨단재생의료를 선도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희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