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전임의가 돌아온다”...‘의대증원 확정’ 속 의료정상화 물꼬 기대

백지연 기자
입력 : 
2024-05-17 06:34:07
수정 : 
2024-05-17 07:25:0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수를 도우며 세부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전임의 계약률이 '빅5' 병원에서 70%를 넘어섰다.

지난 2월 말 시작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과 의료현장 이탈 상황에 전임의들이 동참하며 빅5 병원의 전임의 계약률은 지난 2월 29일 33.9%에 그쳤다.

이후 조금씩 높아져 2배 이상 높아졌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빅5 병원 전임의 계약률 70% 넘어
병원 떠났던 전임의 속속 복귀 움직임
의사들 의견 담은 입간판 설치한 국립암센터 전임의 비대위.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의사들 의견 담은 입간판 설치한 국립암센터 전임의 비대위.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교수를 도우며 세부 진료과목을 진료하는 전임의 계약률이 ‘빅5’ 병원에서 70%를 넘어섰다. 법원의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 각하 결정으로 정부의 의료개혁에 한층 힘이 붙은 상황에서 이탈 전공의 복귀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

‘전임의’는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 병원에서 연구하면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다.

통상 펠로나 임상강사로 불린다. 주로 1년 단위로 병원과 계약을 맺고, 병원들은 정원을 정해 전임의 수를 관리한다.

17일 보건복지부가 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서울성모·삼성서울병원 등 ‘빅5’ 병원을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계약대상 전임의 중 계약한 비율(전임의 계약률)은 지난 13일을 70.1%를 기록하며 이번 의정 갈등 상황에서 처음으로 70%대로 올라왔다.

계약대상자 1212명 중 850명이 계약한 것으로, 14일에 3명 더 늘어 계약률이 70.4%로 상승했다.

지난 2월 말 시작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과 의료현장 이탈 상황에 전임의들이 동참하며 빅5 병원의 전임의 계약률은 지난 2월 29일 33.9%에 그쳤다. 이후 조금씩 높아져 2배 이상 높아졌다.

100개 주요 수련병원의 계약률은 지난 14일 기준 67.3%(2786명 중 1876명)로 빅5보다는 조금 낮지만, 70%에 가까워지고 있다.

계약률이 높아지는 것은 공보의가 소집해제되고 군의관이 전역하면서 전임의 계약을 맺는 사례가 늘어난 데다, 의대 증원에 항의하며 병원을 떠났던 전임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임의들은 의대 교수가 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부가 지역 거점 국립대의 의대 교수를 1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한 것도 복귀 동력의 하나로 꼽힌다.

전날 법원이 의료계가 제기한 의대 증원·배분 효력 집행정지 신청을 기각한 것을 계기로 전임의 계약률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탈 전공의의 복귀 흐름을 이끌며 의료 정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최근 들어 전공의 일부가 복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복지부 기준 14일 하루 동안 복귀한 전공의는 30여 명이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사회정책국장은 “전임의 계약률이 상승한다는 것은 복귀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복귀를 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정부가 전공의들의 빠른 복귀를 돕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