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결국 최종 목표는 똘똘한 한 채”…강남3구·용산구 집값, 갈수록 더 뛴다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5-15 14:04:56
수정 : 
2025-05-15 14:45: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 아파트값 상승폭이 전주 대비 전반적으로 커지며,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 상승했다.

특히 서초구는 0.23%로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송파구의 상승폭도 두드러졌다.

반면 노도강 지역 아파트값은 하락세를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단지 위주의 매수 문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서울 아파트값, 15주 연속 상승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스1]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전경 [사진출처=뉴스1]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아파트값 상승폭이 전주 대비 일제히 커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지정에 잠시 숨 고르던 아파트값 상승률이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심화에 다시 뛰는 형국이다. 재건축 단지에 대한 기대심리도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둘째주(1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 올랐다. 전주(0.08%) 대비 상승폭을 키우며 1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초구(0.23%)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한강변인 반포·잠원동 위주로 올랐고 전주(0.19%)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1주 전에 비해 집값 상승률이 높아진 건 강남구(0.15%→0.19%), 용산구(0.14%→0.15%)도 마찬가지다.

[사진출처=한국부동산원]
[사진출처=한국부동산원]

송파구 아파트값 상승폭 역시 전주 0.12%에서 이번주 0.22%로 뛰었다. 한국부동산원은 “잠실·신천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잠실주공5단지와 잠실장미 아파트에선 연일 신고가가 나온다.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5층)는 지난달 15일 40억 7500만원에, 잠실장미1차 전용 71㎡(13층)는 같은달 2일 24억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된 후 4개 자치구 아파트값 상승폭이 일제히 오른 건 이번이 처음이라 주목된다. 강남3구와 용산구 인접지도 서울 평균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마포구 아파트값 상승폭(0.13%→0.14%→0.17%→0.18%→0.21%)은 4월 둘째주 이후 매주 커지고 있다.

성동구(0.18%), 강동구(0.17%), 동작구(0.12)도 상승률이 평균 이상이었다.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는 영등포구와 양천구 아파트값은 각각 0.13% 올랐다. 준강남이라 꼽히는 경기 과천(0.35%)과 성남 분당(0.16%) 집값 상승폭도 두드러졌다.

다만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아파트값은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주까진 보합 국면(0.00%)이었던 강북구와 노원구는 이번주 0.01% 떨어지며 하락 전환됐다. 도봉구(-0.01%→-0.02%) 하락폭이 소폭이나마 커지기도 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지역, 단지에선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재건축 등 주요 선호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서울 전체 상승세는 지속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