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원전·SMR 밸류체인 구축
2030년 수주·매출 40조 목표


현대건설이 에너지 전환 선도에 초점을 둔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글로벌 혁신 기업 도약을 선언하고 나섰다.
30일 현대건설은 지난 28 서울 여의도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어 주요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상대로 미래 비전인 ‘H로드(H-Road)’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상장 건설사 최초로 개최한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이한우 대표를 비롯해 최영 뉴에너지사업부장, 김도형 재경본부장 등이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건설은 우선 대형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 등 원자력 사업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혁신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원전 연계 데이터센터 등 새로운 패키지 상품을 제안함으로써 생산·저장·운송·활용을 아우르는 에너지 산업 전반 가치사슬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원전 해체, 사용 후 핵연료 저장시설, 원전 연계 수전해 수소 생산, 핵융합 발전 등의 사업 경쟁력도 강화한다. 미래형 SMR로 주목받는 4세대 원자로 용융염원자로(MSR)와 소듐냉각고속로(SFR)의 원천 기술을 확보해 산업 다변화에 대비할 계획이다.
국가별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고 외국 유력 업체와 함께 현지화 전략을 펼쳐 유럽, 미국, 오세아니아 등에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현대건설은 불가리아를 시작으로 스웨덴, 슬로베니아, 핀란드 등에서 대형원전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향후 유럽 전역으로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경쟁 우위 상품을 고도화하고 본원 경쟁력을 강화해 글로벌 건설업계 선두 위치를 공고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건설은 국내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를 건설한 동시에 유일하게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를 건설한 경험으로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
또 해상 풍력발전단지 시공 실적을 보유한 국내 유일 건설사로 전용 선단을 운영해 업계 최고의 시공 우수성과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현대건설은 수소 생태계 구축, 그룹사 재생에너지 공급 통한 탄소 중립 이행 등 에너지 분야와 로보틱스를 활용한 스마트 건설,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 협력을 지속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한우 대표는 “H로드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해 수주 규모를 현재 17조5000억원에서 2030년 25조원으로 확대하고 에너지 분야 매출 비중을 21%까지 늘릴 것”이라며 “2030년 수주와 매출 합계도 40조원까지 달성해 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