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매부리 라운지] 서울 마지막 판자촌 … 구룡마을 1조 보상 마무리 단계

박재영 기자
입력 : 
2025-03-19 17:21: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마지막 판자촌'으로 알려진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의 공공 재개발 사업 보상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SH공사는 이르면 3분기 중 이주를 시작할 계획이다.

보상 절차는 토지 소유주와 지장물 소유주를 포함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법원에 수용보상금을 공탁한 후 소유권을 확보할 방침이다.

그러나 대부분 주민들이 무허가 건축물에 거주하고 있어 분양권을 받는 것이 제한적이며, 주민들의 재산권 인정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보상 이견 큰 '판잣집' 등
SH공사 수용보상금 공탁
수용절차 완료 후 곧 이주
사진설명
'서울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리는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공공 재개발 사업의 1조원 규모 보상 작업이 마무리 절차를 밟고 있다. 사업 시행자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보상을 마치고 이르면 3분기 중 이주 작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1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SH공사는 구룡마을 토지 소유주들을 대상으로 한 보상 절차를 마무리하고 지장물 소유주에 대한 보상을 진행 중이다. 지장물은 이른바 '판잣집'으로 불리는 주거용 간이 공작물 등을 의미한다.

앞서 지장물 소유주에 대한 협의 보상을 진행했던 SH공사는 수용재결을 통해 보상 절차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수용재결은 주택 건설 등 공익사업 추진 시 토지 등 소유자와 원만한 매수 협의가 이뤄지지 못했을 때 일정 수용보상금을 법원에 공탁하고 사업 시행자가 토지 등 소유권을 넘겨받는 제도다. SH공사 관계자는 "토지와 지장물의 소유주 확인 작업이 완료된 상태"라며 "협의에 이르지 못하거나 연락이 닿지 않는 소유주를 대상으로는 수용재결 절차를 밟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10일부터 강남구청은 구룡마을의 지장물 소유자를 대상으로 수용재결 신청 서류에 대한 열람 공고를 실시 중이다.

개포동 567-1 일대에 있는 구룡마을은 '서울 마지막 판자촌'으로 불린다. 서울시는 작년 5월에 최고 25층 높이, 3520가구 규모의 주거단지 개발계획을 발표했고 수정을 거쳐 현재는 공공임대 1896가구, 공공분양 1031가구, 민간분양 960가구를 포함한 총 3887가구 규모 사업으로 확대됐다.

구룡마을 재개발 사업은 토지 보상비로만 1조원이 이상이 책정돼 있다. 토지와 지장물 소유주는 각각 200명, 1000명 수준이다. 오는 8월 소유권 이전 등기를 완료한 후 9월부터 이주 작업에 착수하는 게 SH공사의 목표다.

다만 보상 작업, 소유권 확보와 별개로 이주와 철거에는 진통이 예상된다. SH공사는 토지보상법에 따라 합법적 주거용 건축물을 소유했거나 1989년 1월 24일 이전부터 무허가 건축물의 소유 및 거주가 확인된 경우 분양권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구룡마을 대부분이 무허가 건축물이라 이 기준에 따라 분양권을 받을 수 있는 주민은 매우 제한적이다. 주민들은 수십 년간 생활해온 거주 현실을 고려해 재산권을 인정하고 토지 소유권 혹은 분양권을 제공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재영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