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토허제가 쏘아 올린 공”…전국 집값 하락 폭 꺾이고, 서울은 석달 만에 최대 상승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3-18 15:17:5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달 서울 집값이 3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며, 강남 3구의 상승세가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는 집값 하락폭이 축소됐다.

서울의 주택 매매 가격 지수는 0.18% 상승했고, 송파, 서초, 강남이 각각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0.01% 하락하며 하락폭이 줄어든 반면, 서울은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세를 달리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집값이 하락 폭을 좁혀가고 있는 가운데 서울 집값은 3개월 만에 최대치로 상승하며 고공행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과 서울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포함) 매매 가격 지수는 월 대비 0.1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0.20%)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폭이다.

특히 서울 매매 가격 지수는 강남 3구의 상승세가 견인했다. 실제 이 기간 송파(0.94%), 서초(0.74%), 강남(0.68%)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

송파의 경우 작년 8월(1.59%) 이후 6개월 만에, 서초는 9월(1.16%) 이후 5개월 만에 최고치다. 강남 또한 작년 10월(0.81%)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노원(-0.07%)과 도봉(-0.04%)은 하락하며 서울 내에서도 극명한 온도차를 보였다.

수도권과 지방의 경우 전월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경기(-0.10%)와 인천(-0.20%)은 하락세를 이어갔지만 서울의 상승 폭에 힘입어 수도권(-0.06%→-0.01%) 전체로는 하락 폭이 줄었고, 지방(-0.14→-0.10%)도 하락 폭이 주춤했다.

지난달 전국 주택 가격은 0.06% 떨어지며 전월(-0.10%) 대비 내림 폭이 축소됐다.

주택 유형 중 아파트는 서울(0.24%)만 상승했다. 수도권(-0.03%)과 지방(-0.15%)은 하락해 전국 아파트 가격은 전월 대비 0.09%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수도권에서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낮은 외곽 지역, 입주 물량 영향지역 등은 하락세를 유지하는 반면 재건축 등 선호 단지는 수요가 집중되며 혼조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매매는 서울·수도권에서 국지적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을 보이는 지역과 낮은 선호도로 매수자 우위인 지역이 혼재하고 있으며 지방은 지역별 공급 과다·과소 영향이 다르게 관측되는 등 전국 하락 폭이 축소됐다“고 짚었다.

11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부동산 매물 정보. [사진 출처 = 연합뉴스]
11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게시된 부동산 매물 정보.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셋값 또한 0.01% 하락하며 전월(-0.02%) 대비 하락 폭이 축소됐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지역별로 혼조세를 보였는데 서울(0.00%→0.06%)은 새 학기를 맞아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며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다만 지방(-0.02%→-0.02%)은 하락 폭을 유지했다. 5대 광역시(-0.02%→-0.01%)가 내림 폭을 좁혔지만 8개도(-0.03→-0.03%)는 전월과 같은 하락 폭을 나타냈다.

이 기간 세종(-0.04%→-0.12%)은 전월보다 하락 폭이 확대됐다.

전국 주택 월세는 0.08% 상승하며 전월과 상승 폭이 같았다.

서울(0.10%→0.12%)이 오름폭을 넓히며 수도권(0.13%) 전체로는 전월과 같은 비율로 상승했다. 5대 광역시(0.03%→0.05%)와 8개도(0.05%→0.03%)는 상승세를 지속했지만 세종(0.07%→-0.13%)은 하락 전환하며 대비를 보였다.

이를 포함한 지방 월세는 전월과 동일하게 0.0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월세는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나 구축, 외곽지역 등은 선호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전세는 하락 폭 축소, 월세는 상승폭 유지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