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집한채 종부세 대상 5만가구 늘었다

이희수 기자
서진우 기자
입력 : 
2025-03-13 17:38:21
수정 : 
2025-03-13 17:39:2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평균 3.65% 상승하면서 종합부동산세 대상인 1가구 1주택자가 약 5만2000가구 늘어났다.

서울의 공시가격은 평균 7.86% 상승했으며, 강남 3구는 서초구 11.63%, 강남구 11.19%, 송파구 10.04%로 각각 증가했다.

이러한 상승세에 따라 내년에도 세금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토부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
서울 7.8%↑…강남 10% 훌쩍
3년 만에 25개 區 일제히 상승
◆ 공시가發 보유세 충격 ◆
사진설명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평균 3.65% 오르면서 종합부동산세를 내는 1가구 1주택자가 약 5만2000가구 늘어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공개했다. 올해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 상승률은 작년 1.52%보다 2배 이상 높아졌다. 공시가격이 오르면서 올해 종합부동산세 대상(12억원 초과)이 되는 1가구 1주택자도 증가했다. 올해 1가구 1주택 종합부동산세 대상은 31만8308가구로 작년 26만6780가구보다 5만1528가구가 늘어났다.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인 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울의 공시가격은 작년보다 7.86% 올랐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의 공시가격이 모두 작년보다 상승했다. 서울 전역 공시가격이 모두 오른 건 부동산 활황기였던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똘똘한 한 채' 선호로 인해 지난해 강남 3구 집값이 크게 뛰었다. 강남 3구 공시가격 상승률은 서초구 11.63%, 강남구 11.19%, 송파구 10.04% 순이었다. 이에 따라 이들 지역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부담도 작년보다 최대 40%(500만원) 가까이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들어서도 집값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내년에도 세금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달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가 해제된 영향으로 서울 강남 3구 아파트값이 부동산 시장 활황기인 2018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둘째 주(10일 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은 전주 대비 0.2% 올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0.2%대를 회복한 건 지난해 9월 9일(0.23%) 이후 6개월 만이다. 특히 잠실동이 위치한 송파구는 전주 대비 0.72% 올랐고 강남구와 서초구도 각각 0.69%와 0.62%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희수 기자 / 서진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