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LH, 올해 공공주택 10만호 승인 … 매입·전세임대 9만호

서진우 기자
입력 : 
2025-02-23 16:43: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9만 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의 공공택지를 공급할 계획을 세웠으며, 사업 승인 목표는 10만 가구로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다.

LH는 공공주택 착공 목표치를 지난해 5만 가구에서 20% 증가한 6만 가구로 설정하고, 청년·신혼부부·고령자에게 37%를 공급하는 등 공급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또한, 전세사기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7500가구를 매입하고, 공공주택 분양가격을 낮추기 위한 방안도 시행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공공 착공 6만가구로 늘려
21.6조 투자, 상반기 57% 투입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가 공급된다.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올해 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LH는 올해 공공주택 사업 승인 10만가구를 목표로 내세웠다. 이는 지난해 목표치인 10만5000가구에서 소폭 감소한 물량이다. 사업 승인 물량의 37%는 청년·신혼부부·고령자에게 공급한다.

다만 올해 공공주택 착공 목표치는 지난해 5만가구에서 20% 늘린 6만가구로 설정했다. LH는 "급증한 건설 원가와 부동산 금융(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 여파로 주택 공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만큼 공공주택 승인과 착공 일정 모두 과감히 앞당겨 상반기에 그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 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 매입임대 5만가구, 구축 매입임대 4000가구, 전세임대 3만6000가구 등 총 9만가구 공급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사업 승인 10만가구와 합치면 올해 공급되는 공공주택 물량은 19만가구가 된다.

LH는 지난해 약정한 신축 매입임대 물량이 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건축 인허가를 지원하고 조기 착공 물량에 착수금을 지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계획이다. 특히 입주자 모집 시점은 '준공 이후'에서 '착공 이후'로 앞당긴다. LH가 전체 사업의 94%(49곳)를 담당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 서울에서 첫 삽을 뜬다. 방학·쌍문·연신내 등 3곳에서 연내 착공을 추진한다.

전세사기 피해 주택 가운데 올해 7500가구 정도를 매입해 경매 차익을 피해자에게 지원하는 정책도 펼친다. 이를 위해 본사와 지역본부에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배치 인력을 대폭 늘렸다. 공공주택 분양가격을 낮추기 위한 방안도 시행하기로 했다. 사업 지구별로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검증을 강화한다.

올해 연간 투자 계획은 총 21조6000억원으로, 전체 공공기관 투자 계획(66조원)의 33% 수준으로 잡았다. 이 가운데 57% 이상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한다. 특히 LH는 올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기 위한 전담 조직과 인력을 구성해 구체적인 매입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3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 주요 교통망 구축을 적기에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가운데 LH의 사업 참여를 원하는 4곳에 대해서는 연내 특별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 시행자 지정을 추진한다. 추가 후보지를 발굴해 해당 주민들의 주거 안정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3기 신도시 광명시흥 같은 대규모 사업 지구에서는 LH와 주택도시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보상 등 재무 부담을 낮추기로 했다.

[서진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