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경기도라고 다 같은 게 아냐”···과천만 용틀임, 안성·평택은 울상

손동우 기자
입력 : 
2025-02-23 15:24:4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기도 내 아파트 가격이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과천은 17.23%의 상승률로 서울 강남3구를 넘어서고 있다.

반면, 안성(-5.42%)과 평택(-5.38%) 등 외곽 지역은 가격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미분양 아파트 문제도 심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과천 집값 상승의 원인으로 서울 강남권의 근접성과 신축 아파트 증가, GTX-C 개통 예정 등을 지목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정부과천청사역 인근의 과천 아파트 단지 <매경DB>
정부과천청사역 인근의 과천 아파트 단지 <매경DB>

같은 경기도지만 지역에 따라 아파트가격이 큰 차이를 보이는 ‘지역 분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과천은 서울 ‘강남3구’ 못지 않은 상승률을 보이는 반면, 안성과 평택은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 가격지수는 1.85% 올랐다. 하지만 지역별로 편차가 매우 컸다.

과천 아파트값은 지난해 무려 17.23% 상승했다. 서울 강남구(10.66%), 서초구(12.44%) 상승률까지 뛰어넘었다.

과천은 올해 들어서도 0.43% 올라가며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서초구나 강남구와 맞먹는 수준이다.

과천 다음으로는 성남 분당구(8.36%), 수정구(7.85%), 하남(5.96%) 등도 작년 높은 실거래가 상승률을 보였다. 부천 원미구(4.78%), 안양 동안구(4.76%), 수원(4.52%), 구리(4.28%)도 4%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도 외곽인 안성은 5.42% 하락했고 평택도 5.38% 떨어졌다. 올해도 비슷한 흐름을 유지 중이다. 이천(-3.99%), 포천(-3.25%), 용인 처인구(-2.42%) 아파트값도 약세였다.

이들 지역에서는 미분양 아파트도 늘고 있다. 특히 이천은 지난해 8월부터 이달까지 7개월 연속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작년 8.02% 올랐다. 하지만 역시 지역별로 온도 차를 보였다.

서울에서는 강남 3구와 마(포)·용(산)·성 (동)아파트 실거래가만 눈에 띄는 상승률을 보였다. 서초구 다음으로 성동구(10.98%)의 상승률이 높았고 강남구(10.66%), 마포구(9.88%), 송파구(9.34%), 광진구(9.33%)가 뒤를 이었다. 금천(1.20%), 노원(2.21%), 관악(2.88%), 은평(3.25%), 구로(3.72%)는 실거래가 상승률이 서울 평균보다 훨씬 낮았다.

올해는 송파구(0.8%)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서초 강남 광진 양천구 등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과천 집값이 뛰는 이유로 서울 강남권 근접성, 2020년 이후 신축 아파트 증가, 과천 주공아파트 등 재건축 기대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개통 예정, 지속적인 인구 유입 등을 꼽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