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대출 옥죄기에 서울 집값마저”…지난달 전국 주택가격 하락폭 확대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2-18 14:05:5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인해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가격지수가 평균 -0.10% 하락하며 관망세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서울은 미세한 상승을 기록했지만,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하락세를 보였다.

부동산 원 관계자는 지역별 매수세의 차이가 크며, 아파트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의 대대적인 대출 조이기에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가 맥을 못추고 있다. 업계에서는 관망세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1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평균 -0.10% 하락하며 전월(-0.07%) 대비 하락 폭이 확대됐다.

특히 서울은 0.04% 상승하며 지난 12월(0.08%) 대비 상승폭이 축소되기도 했다.

수도권은 지난달 0.00%에서 -0.06%로 보합에서 하락 전환, 지방은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0.14% 하락 폭을 유지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수도권 내 재건축 등 주요 단지에 대한 선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매매는 서울·수도권은 국지적으로 강한 매수세를 보이는 지역과 수요가 위축되는 지역이 혼재되는 모습을 보이며 지방은 입주 물량 영향 지역, 구축 단지 위주로 하락하는 등 전국적으로 하락 폭이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서울 자치구별로 송파(0.22%), 용산(0.17%), 서초(0.15%), 광진구(0.14%) 등은 상승했다. 반면 노원(-0.09%), 구로(-0.07%), 도봉(-0.04%)은 하락세다.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불패 신화도 깨져가는 모습이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는 서울(0.01%)에서만 상승했다. 수도권(-0.10%)과 지방(-0.21%)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가격은 0.15% 하락하기도 했다.

연립주택의 경우 서울(0.05%)만 오르고 수도권(-0.04%), 지방(-0.11%)이 내리며 전국적으로 0.06% 내렸다. 단독주택은 서울(0.16%), 수도권(0.12%), 지방(0.04%)이 모두 올라 전국 가격도 0.06% 상승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