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대출 규제에도 ‘이 동네’ 집값은 올랐다…대체 어디길래

백지연 기자
입력 : 
2025-02-06 14:49:2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가격은 0.02% 상승하며 상승세로 전환됐다.

재건축 추진 등 선호 단지에서의 거래 증가가 매수세를 견인했지만, 대출 규제 영향으로 전반적인 매수 심리는 위축되고 있다.

전국 전세가는 0.00%로 보합 전환되었으며, 서울 전세도 소폭 상승하여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외벽에 호가를 올린 아파트 가격표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외벽에 호가를 올린 아파트 가격표가 붙어 있다. [김호영 기자]

전국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서도 서울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영향에도 재건축 추진 등 선호 단지에는 여전히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첫째 주(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이어 0.0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다섯째 주부터 이어진 보합세를 끊어 상승 전환한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대출규제 등의 영향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관망세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재건축 추진단지 등 선호단지에서는 거래 가능 가격이 상승하면서 서울 전체가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자치구별로는 송파(0.13%), 서초(0.06%) 등 강남권 위주로 상승세를 보였다. 용산·마포구는 나란히 0.05% 올랐다. 반면 노원구(-0.03%), 은평구(-0.01%) 등은 떨어졌다. 강동구(-0.03%), 동작구(-0.01%)도 내렸다.

수도권에서는 경기(-0.04%→-0.03%)와 인천(-0.06%→-0.08%)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경기권에서는 광명(-0.27%), 평택(-0.24%) 등이 하락한 반면 수원 화성(0.08%), 과천(0.06%) 등은 상승해 온도 차가 감지됐다.

경기와 인천 하락으로 수도권(-0.03%→-0.02%)도 내림세가 계속됐지만 낙폭은 전주 대비 소폭 주춤했다.

지방 또한 0.06% 떨어져 전주(-0.07%)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대구(-0.16%→-0.21%), 대전(-0.08%→-0.07%) 등의 하락세가 이어지며 5대 광역시가 0.08% 하락했고, 세종(-0.09%→-0.07%)도 매수 수요 위축이 지속되는 분위기다.

전국 전세가는 0.00%로 전주(-0.01%) 대비 보합 전환했다. 서울(0.01%)의 경우 매매가격과 마찬가지로 전주 보합에서 상승세로 돌아섰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의 경우 일부 입주 물량 영향이 있는 단지·외곽지역에서 전세값이 하락하고 있으나 학군지·신축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