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거래침체? 그런 거 몰라”…6개월새 나홀로 10% 오른 ‘이곳’

배윤경 기자
입력 : 
2025-01-23 18:04:22
수정 : 
2025-01-23 18:10:1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의 대출 규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가 감소한 가운데 강남3구의 평균 매매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송파구는 14.9%의 가격 상승률을 기록하며, 재건축 규제 완화와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 건수는 전반적으로 줄어들며, 향후 시장은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의 대출 규제 여파로 서울 아파트 거래가 지난해 4분기 감소한 가운데 강남·서초·송파구 등 일명 ‘강남3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큰 폭으로 올랐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커진데다 재건축 규제 완화로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강남3구 아파트의 3.3㎡(평)당 평균가격(7349만원)은 같은 해 8월(6665만원)에 비해 10.8% 상승했다.

반면 마포·용산·성동구(마용성) 가격은 같은 기간 4996만원에서 5060만원으로 1.8% 오르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노원·도봉·강북구(노도강)는 2265만원에서 2200만원으로 3% 떨어졌다.

지난해 8월 대비 지난해 12월의 아파트 3.3㎡(평)당 평균 가격을 보면 송파구(14.9%)가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서초구(13.5%), 마포구(8.9%), 강남구(3.9%) 순이었다. 나머지 자치구는 역신장했다.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과 달리 아파트 거래 건수는 지난해 3분기를 기점으로 하락했다.

강남3구, 마용성, 노도강 모두 지난해 4분기 거래가 3분기보다 줄었다. 강남3구는 47.7% 감소했으며 마용성과 노동강도 각각 50.6%와 46.4% 줄었다.

지난해 1분기와 3분기를 비교했을 때 강남3구의 평균 거래 건수는 3분기(1173건)가 1분기(570건)보다 105.6% 급증했다.

특히 서초구는 지난해 1분기 421건에서 3분기 961건으로 128.3% 뛰었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 대출 규제와 미국 고물가 장기화 우려 및 정치 상황 등 각종 외생변수로 불확실한 시장 환경이 지속됨에 따라 ‘똘똘한 한 채’를 선택하고자 하는 수요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상반기의 경우 기준금리 추가 인하 등 가격 및 거래가 상승할만한 요인이 있지만 외생 변수가 여전하고, 아직 금리 수준도 높은 데다 7월에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도 실시될 예정이어서 당분간 주택시장의 숨 고르기가 계속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