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K반도체 거점' 용인 처인구 강남 제치고 땅값 상승 1등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1-23 17:30: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해 전국 땅값이 2.15% 상승하며 땅값 상승폭이 전년보다 확대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구축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로, 상승률이 5.87%에 달했다.

전국 250개 시군구에서는 서울이 3.10%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토지 거래량은 전년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작년 5.9% 올라 2년 연속 선두
전국 2.15% 상승, 제주는 하락
사진설명
지난해 전국 땅값이 2.15% 올랐다. 땅값 상승폭이 전년보다 확대된 것은 2021년 이후 3년 만이다. 전국에서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구축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였다.

국토교통부가 23일 발표한 '2024년 전국 지가 상승률 및 토지 거래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는 2.1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지가 상승률은 2021년 4.17% 오른 뒤 2022년(2.73%), 2023년(0.82%) 연속으로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지난해 2%대로 올라섰다.

최근 땅값 상승률은 다시 꺾이는 추세다. 전국 지가는 2023년 3월 상승 전환한 뒤 22개월 연속 오르다가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난해 지가 변동률은 수도권(1.08%→2.77%)과 지방(0.40%→1.10%)에서 모두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울(3.10%)이었고, 그 뒤를 경기(2.55%)와 인천(1.84%)등이 이었다. 수도권 위주로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제주 땅값은 0.58% 하락하며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에서는 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고 신규 택지도 조성되는 용인 처인구의 땅값 상승률이 5.87%로 가장 높았다. 처인구 땅값은 전년에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6.66%)을 보였다. 이어 서울 강남구(5.24%), 성남 수정구(4.92%), 대구 군위군(4.51%), 서울 서초구(4.01%)의 땅값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토지는 약 187만6000필지(1236.3㎢)가 거래됐다. 이는 전년도 대비 5만필지(2.7%) 증가하고 2022년보다는 33만3000필지(15.1%) 감소한 수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9개 시도에서 토지 거래량이 늘었다. 그중에서도 울산이 전년 대비 18.4%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서울은 12.3%, 경기는 6.1% 증가했다. 건물이 안 딸린 순수토지 거래량은 서울 22.1%, 대전 11.0% 대구 5.9% 세종 5.9% 등 4개 시도에서 증가했다.

[이희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