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 완전 이전 추진”
脫용산 움직임 본격화…광화문·창성동 검토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경선에 임하는 각오를 밝히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4/17/rcv.YNA.20250416.PYH2025041606120001300_P1.jpg)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수도로 만들겠습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3 대선을 앞두고 충청 맞춤형 공약을 발표했다. 사회적 공론화를 거쳐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본원을 완전히 이전해 세종시를 행정 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내세웠다.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함께 본격적인 탈(脫)용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이 전 대표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를 찾기 전에 페이스북을 통해 충청 공약을 선보였다. 이 전 대표는 “충청은 국토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심장으로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균형발전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행정수도 세종에 힘을 실었다. 이 전 대표는 “세종을 행정수도 중심으로 완성하고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국회 본원과 집무실 완전 이전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앞서 ‘2027년 대통령 제2 집무실 완성’ 계획을 거듭 확인한 바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세종 집무실 완공 목표를 2027년으로 잡고 있고, 사업비는 3,846억 원, 예정 부지는 세종동 S-1생활권이다.
이 전 대표는 대선에서 당선되면 세종 완전 이전을 추진할 수 있는 기구를 신설할 방침이다. 이재명캠프 총괄본부장을 맡은 강훈식 의원은 “완전 이전은 국민적 동의가 이뤄져야 하고 개헌과도 맞물려 있다”며 “서울·세종 집무실 역할도 나누고 완전 이전 추진단도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임기 첫날부터 업무를 시작할 집무실도 고민 중이다. 강 의원은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며 “아직까지는 이재명캠프 입장이 정해지지 않았는데 어디에서 일하는 것보다는 무슨 일을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안에선 광화문 정부종합청사나 창성동 별관을 쓰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광화문청사를 고려한 바 있다. 다만 고층 건물이라서 보안에 치약한 데다 맞은 편에는 주한미국대사관이 들어서 있다. 광화문광장 일부가 보안 구역으로 설정돼 시민 불편이 클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이 전 대표뿐 아니라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세종 집무실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김 전 지사는 지난 14일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서울·세종 대통령 집무실 동시 사용을 약속했다.
고향 충청을 찾은 김 지사도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옮기자는 공약을 내놨다. 김 지사는 “대통령실은 외교안보 분야를 제외한 다른 수석직을 폐지하면 5분의 1 수준 규모로 줄일 수 있다”며 “효율화를 거치면 충분히 세종에서도 집무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적어도 민주당 대선 후보들 사이에서는 탈(脫) 용산에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국민의힘에서도 용산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에서 “용산은 불통·주술 상징이 됐다”며 청와대 복귀를 주장했다.
이로써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용산시대도 3년 만에 막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2022년 3월 윤 전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인수위원회에서 직접 용산 이전을 발표했다. 예산·시기 등을 놓고서 문재인정부와도 첨예한 갈등을 겪었으나 “청와대에는 단 하루도 머무를 수 없다”며 용산 이전을 강행했다.